반응형
반응형

컨제입니다.
 
휠베 225mm인 G4 차량에 올려줄 타미야 페라리 458 이탈리아 바디를 컷팅해서 완성시켰습니다.
 
https://kernzeroid.tistory.com/243

 

[바디제작] 페라리 458 바디 - 휠베 225mm 로 줄이기

컨제입니다. 최근 컨버전을 진행한 휠베 225mm 차체에 바디가 없는 상황입니다. 흔치않은 휠베이스 덕분에 사용할 수 있는 바디가 극히 제한적인데, 해외 직구를 통해 폭이 190이면서 휠베가 225

kernzeroid.tistory.com

 
하지만,
이 바디는 상당히 파손이 심각한 바디로 리어가 아래 사진처럼 깨져서 떨어진 파츠도 보관중이지가 않고,
또 개인적으로 458의 프론트는 너무 이쁘다 생각되지만 후면 디자인이 딱히 마음에 들지 않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프론트 역시 깨져있지만 에폭시본드로 나름 본딩은 되어 형태를 유지는 하고 있는 상황.

 
 
이걸 어떻게 이쁘게 꾸밀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실차인 페라리 458 을 검색하며 이런 처런 모양의 튜닝된 차량을 구경합니다.
 
그러다 눈에 확 띄는 차 한대!!!
 
오우!!

인터넷 검색중 발견한 페라리 458 이탈리아 실차


측면에서 봐도 포스가 지립니다. 
 
폴리바디의 깨진 부분까지 커버할 수 있는 디자인에 블랙 카본파츠가 주는 리어의 포스가 너무 마음에 드는군요.

 
 
고민없이 퓨전360 프로그램을 켭니다.
 
그리고 자로 바디 길이를 재고 높이를 재고 전체 크기를 정한다음
스윽스윽 디퓨저와 머플러등을 구현해줍니다.
 

 
 
 일단 이렇게 각진 모양으로 1차 나왔고,

 
 좀더 수정해서 각진 부분을 깍아주고
 
리어윙을 달 수 있게 구멍도 뚫어주었습니다.

 
반쪽만 모델링 했기에 
미러기능으로 거울처럼 반쪽을 추가해 붙여주고
 

 
저장해서 최종 완성시킵니다.

 
뱀부랩 슬라이서로 가져가서 슬라이싱 한다음

 
 
트리형 서보터도 달아주고

 
A1 mini 에게 출력을 맞기니 약 2시간만에 완성시켜 주었습니다.
 
출력재료는 PLA+

 
서포터를 제거하니 당당히 모습을 드러낸 리어 디퓨져

 
 
너무 평평하게 일자로 모델링한 상태라서 바디의 굴곡이 필요해보여
약간의 열을 가미해 전체적으로 살짝 둥글게 굴곡을 넣어줍니다.
 
바디를 적당히 알맞게 컷팅하고
 
완성시킨 리어 디퓨져
 
 

 
역시 E6000 에폭시 본드로 안쪽에 듬뿍 발라 단단히 고정시켜 주었습니다.
 
 
휠베 225 G4에 피팅한 모습

 

밋밋한 뒷부분에 윙을 달아주고자 합니다.

 

윙 마운트는 기존에 자작해둔 마운트를 사용합니다.

 

https://kernzeroid.tistory.com/97

 

[자작DIY] 리어윙(Rear Wing) 긴 버전(Long) 제작기

컨제입니다 최근 GT-R 바디 도색을 완료하고, 이후 외관에 실차감을 줄수 있는 악세서리를 장착하는 과정중 차량 리어 부분에 달아줄 윙을 달아주려고 각을 재보는데 번들로 같이 딸려온 플라스

kernzeroid.tistory.com

 

이번엔 광메탈 색이 아닌 디퓨저와 같은 검정색으로 가기 위해 스프레이로 간단히 도색을 해주었습니다.

 

나무젓가락에 꼽아 슥슥 도색완료.

 

 

모델링시 염두해둔 윙마운트 구멍에 하나씩 꼽아주고 에폭시본드로 본딩!

 

마지막으로 윙을 달아줍니다.


깨지고 엉망이던 458 바디의 리어가 말끔히 다시 태어난것 같아 
 
나름 마음에 드는 작업이었던것 같습니다.
 
(사실 막바디여서 실패시 버린다는 생각이었는데, 오히려 이 생각이 압박없이 자유롭게 작업할 수 있게 해준게 아닐까 싶습니다ㅎㅎ) 
 
 
그리고 
 
아무래도 출력 소재가 PLA이기에 외부 충격등에 의해 깨질 가능성도 있다고 보지만
 
그래도 주위를 감싸고 있는 폴리바디의 유연함으로 어느정도 커버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led등 마무리하고 225셋팅이 좀더 매진해봐야겠습니다.
 
이쁘게 페라리 바디도 완성시켰으니 G4여 잘 가주길~~~

 

 

이상 바디 튜닝기를 마칩니다.

 

 

 

- 끗 - 

 

반응형
반응형

 

1. THETA RAZOR 어플 다운로드 설치

 
모바일로 웹사이트에 방문합니다.
 ※ IOS를 사용하는 아이폰은 설치가 불가능합니다. 반드시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하는 폰으로만 설치가 가능합니다. 
    (아이폰에서 NFC를 지원하지 않기에 사용불가 / PC에서도 불가능)
 
http://www.fastech.cc/

 

Home

Committed to manufacturing top model servos, bringing top control experience to the majority of model players

www.fastech.cc

→ 정식앱이 아닌 설치형 앱이라 구글플레이 스토어에서는 검색되지 않고 이 방법을 통해서 설치를 진행해야 합니다.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메인화면 좌측 상단 三을 터치합니다.

 

Software Download를 터치해서 다음 메뉴로 이동합니다.

 

 

THETA.APK를 터치해서 어플을 설치합니다.

(설치 과정에서 경고메시지를 띄울수 있으나, 컨펌하고 설치를 진행합니다)

※ 휴대폰의 NFC기능을 활성화 시킵니다.

 

2. NFC 연결방법 및 설정값 변경 → 유튜브 동영상 참고

https://youtu.be/UNSZPEqLhpQ

※ 특징이라면, 서보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어플이 설치된 폰을 이용해서 값을 적용/변경 할 수 있습니다.
 

 

3. 설정 값 설명

 
◆ neutral (뉴트럴)
 - 중립 : 서보의 중립 지점 위치를 조정합니다.
조정 범위는 서보의 출력 각도에 따라 다릅니다.
출력 각도 범위가 적게 설정될수록 값의 범위는 더 넓어질 수 있습니다.
조정된 오른쪽에 전원 켜기 버튼이 선택되어 있으면 서보 전원이 켜지면 자동으로 중립 지점으로 돌아갑니다.
 
 
 gyro gain (자이로 게인)
 - gain이란? : 사전적 의미로 '얻다', 즉 이 항목으로 얻을수 있는 이득(利得)을 뜻합니다. 
이 값의 범위를 넓히고 좁힐수록 자이로로 얻을 수 있는 양과 방향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gain게인 즉 이득(利得)은 전자 공학에서 증폭기와 같은 전기 회로가 신호나 출력을 증폭하는 비율을 뜻합니다. 보통의 경우 전기 회로의 입력 신호 대비 출력 신호의 비의 로그 값으로 나타낼때 쓰입니다.


 
 speed (스피드 - 속도)
 - 속도 : 값이 적게 설정될수록 자이로의 사용을 느끼지 않고 서보의 속도가 감소합니다.


 dead zone (데드존)
 - 비활성 영역 : 값이 적게 책정될수록 정밀도가 높아집니다. 큰 수치는 서보가 가지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정밀도가 만족스러우면 값을 최대화 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input (인풋)
 - 입력 : 입력 PWM 하이 레벨의 범위(우리 유닛 포함)를 뜻합니다.
 
※ PWM이란? PWM은 Pulse Width Modulation의 약자로 펄스 폭 변조를 말하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처럼 흉내내는 것이라고 보면됩니다.
 

◆ output angle (아웃풋 앵글)
 - 출력 각도 : 입력 PWM에 따른 출력 각도 범위(도 단위 포함) 선형 성능이 필요한 경우 대칭 설정이 필요합니다.

 
◆ soft start (소프트 스타트)
 - 소프트한 시작 : 전원을 켤 때 중립 지점 위치로 천천히 회전하십시오.
 

◆ max current (맥스 커런트)
 - 최대 전류: 서보 작동 전류 조정이 필요할 경우 설정합니다. 현재 세트가 많으면 많을수록 의 성능은 높아집니다.
속도 및 토크 증가 BEC를 사용하여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경우 BEC의 기능이 다음과 일치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서보 최대 전류 사용 배터리 2s Li-Po일 경우 값은 3.5A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값을 낮추면 서보의 리프트가 길어질 수 있습니다.
이 값은 신뢰성을 높입니다.
 

◆ startup power(스타트업 파워)
 - 시동 전력: 서보 스타트의 전원을 조절합니다. 약간의 작은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한 값을 조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면 값을 조금 낮추어 조정하시기 바랍니다.

 
◆ overload current (오버로드 커런트)
과부하 전류: 전류 보호를 설정하도록 조정하세요(Amp 및 second 단위).
작업 전류가 1차 전류 값보다 높고 마지막 1차 시간 값인 경우, 작업 전류가 1차 전류 값까지 보호됩니다.
작업 전류가 여전히 두 번째 전류 값보다 높고 두 번째 시간 값보다 마지막인 경우, 작업 전류가 두 번째 전류 값까지 보호됩니다.
작업 전류가 여전히 세 번째 전류 값보다 높고 마지막 세 번째 시간 값인 경우 작업 전류를 세 번째 전류 값까지 보호합니다.
이러한 값들의 좋은 집합은 서보에게 더 긴 수명과 더 높은 신뢰성을 줄 수 있고 심지어 서보를 크라셔에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서보가 걸리면 온도가 올라가서 작동 전류가 약간 낮아집니다.
이것은 서보에게 해를 끼치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첫 번째 전류 값이 최대 전류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으면 보호가 자동으로 비활성화됩니다.
 

◆ overload time(오버로드 타임)
과부하 전류: 전류 보호를 설정하도록 조정하세요(Amp 및 second 단위).
작업 전류가 1차 전류 값보다 높고 마지막 1차 시간 값인 경우, 작업 전류가 1차 전류 값까지 보호됩니다.
작업 전류가 여전히 두 번째 전류 값보다 높고 두 번째 시간 값보다 마지막인 경우, 작업 전류가 두 번째 전류 값까지 보호됩니다.
작업 전류가 여전히 세 번째 전류 값보다 높고 마지막 세 번째 시간 값인 경우 작업 전류를 세 번째 전류 값까지 보호합니다.
이러한 값들의 좋은 집합은 서보에게 더 긴 수명과 더 높은 신뢰성을 줄 수 있고 심지어 서보를 크라셔에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서보가 걸리면 온도가 올라가서 작동 전류가 약간 낮아집니다.
이것은 서보에게 해를 끼치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첫 번째 전류 값이 최대 전류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으면 보호가 자동으로 비활성화 됩니다.

ssr input PWM
 
 

[원본 출처] RAZOR-D1 서보 메뉴설명 (드리프트 클럽 [ Korea Rc Drift Club ]) | 작성자 김*일78 DDR 스텝
+ 컨제 각색

반응형

+ Recent post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