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모델링을 공개해준 원 제작자가 차체 말고도 바디 쉘도 만들어 공유하고 있습니다. The original producer who unveiled the modeling at that time is making and sharing body shells in addition to the body.
이 역시 너무나 고맙게도 무료로 공개하고 있어, 비용이 들지 않고 모델링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었는데요 Thankfully, it's also being released for free, so I was able to download the modeling file at no cost
제가 원하는 크기대로 스케일 조정만 살짝해서 바디를 출력 & 제작해 봤습니다. I printed and produced the body by slightly scaling it to the size I wanted.
※ 위 영상 설명란에 다운로드 가능한 링크가 있으며, 이 포스트 맨 끝에도 기재해 두도록 하겠습니다. ※ There is a downloadable link in the video description section above, and I will also write it down at the end of this post.
링크에서 모델링 파일을 모두 다운로드 받습니다. Download all modeling files from the link.
그리고 각 파츠별로 색에 맞게 잘 출력 해줍니다. And each part outputs well according to the color.
서포트는 필수, 내부채움은 기본설정값으로 했고 0.2mm 품질로 출력했습니다. Support is essential, and internal filling is the default setting and output is 0.2mm quality.
잘 출력되어진 파츠들을 가지런히 나열해 봅니다. Let's list the well-printed parts neatly.
그리고 그대로 조립하고 합체시키는 절차로 진행됩니다. And it goes through the process of assembling and merging as it is.
마스킹 테잎으로 가조립 한다음 After you temporarily assemble it with masking tape
순접과 에폭시본드로 붙여줍니다. Attach it with instantaneous adhesive and epoxy bond.
라이트 버킷에 구멍을 5mm와 3mm 각각 뚫어 LED도 달아주고 Make a hole in the light bucket with 5mm and 3mm, respectively, and add LEDs
투명 레진+아크릴 물감 조합으로 리어 라이트도 구현해봅니다. We also implement rear lights with a combination of transparent resin and acrylic paint.
버킷 자리 잡아주고 고정시켜 줍니다. It holds and fixes the bucket.
그렇게 완성! That's how it's done!
벤츠의 삼각 로고는 출력후 은색 마카로 칠해주고 부착 After printing out the triangle logo of Mercedes, paint it with silver maca and attach it
따로 후가공 하지 않았는데 I didn't post-process it
표면이 제법 매끄럽게 잘 나온것 같습니다. I think the surface came out pretty smooth.
제작한 바디의 차체 명칭은 AMG GT 63 쿠페 입니다. The manufactured body is AMG GT 63 Coupe.
킷은 디라이크 하이브리드 제로 Kit is D-Like Hybrid Zero
휠베이스 273mm로 컨버전한 드리프트 전용 샷시로 This is a drift-only chassis converted to wheelbase 273mm.
바디 역시 휠베에 맞게 맞춤제작 하였습니다. The body is also custom-made to fit the wheelbase.
(원본 모델링 파일은 휠베이스 268mm 으로 되어 있으나, 사이즈 확대출력으로 휠베이스 273mm로 101.90% 확대 출력) The original modeling file is wheelbase 268mm, but the size enlargement output is 101.90% enlarged to wheelbase 273mm
물론 하드 바디다 보니 폴리바디에 비해 무게가 상당히 묵직합니다. 또 충격시 쉽게 깨질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하지만 그런 단점에도 불구하고 도전 삼아 한번 제작해 보았습니다. It is quite heavy compared to the polycarbonate body because it has a hard body. It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able to break easily on impact, but despite these shortcomings, I tried to make it a challenge.
사실 후가공 할 생각으로 뽑아봤는데 출력물이 준수한 퀄리티로 나와서 그냥 그대로 진행해 짧은 시간내 완성 시킬 수 있었네요. In fact, I pulled it out with the intention of post-processing, but the output came out of good quality, so I was able to proceed as it is and complete it in a short time.
장점보다 단점이 많은 바디이지만, 그냥 이런것도 있구나 하고 봐주시길ㅎㅎ It's a body that has more disadvantages than advantages, I just want you to think that there's something like this, too.
사용프린터 : 뱀부랩 A1 mini Used Printer: BambooLap A1 mini
T10PX는 가장 최근에 출시된 제품으로 이는 둘다 고품질 무선 시스템으로 RC 송신기의 하이엔드급에 해당하는 모델들 입니다.
차이점을 알고 어떤 장단점이 있은지를 알게 된다면
어떤 제품으로 선택해야할 지 결정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아 차이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T7PX와 T7PXR 은 큰 차이점이 없으므로 동일한 모델로 간주하고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외관 차이입니다.
T7PXR
T10PX
- T7PX 출시일 : 2017년 7월 출시
- T10PX 출시일 : 2021년 11월 발표
비교표
스펙
T10PX
T7PX
디스플레이
4.3인치 컬러 터치스크린
2.7인치 흑백 화면
지원픽셀
480 x 272 픽셀
128 x 64 픽셀
채널 수
10 채널 (최대 18까지 확장 가능)
10 채널 (최대 16까지 확장 가능)
RF 출력 전력
8.5와트(고정)
1-10와트(조정 가능)
사용 배터리
리튬폴리머 7.4V 4000mAh
리튬폴리머 7.4V 1800mAh
배터리 수명
8시간
4.5시간
저장 모델수
30개 모델
60개 모델
원격측정
블루투스 및 앱 기반
케이블 및 PC 소프트웨어
무게
약 900g
약 680g
프로그래밍 접근 방식
간단한 앱 인터페이스
전통적인 딥 메뉴 시스템
내구성
알루미늄 합금 케이스
알루미늄 합금 케이스
S.Bus 지원여부
O
O
10PX와 7PX의 주요 차이점
10PX와 7PXR은 유사점을 공유하지만 두 제품 중 하나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화면 디스플레이 및 인터페이스
10PX는 4.3인치 풀 컬러 TFT 터치스크린을 탑재해, 밝고 생생한 그래픽을 제공하며 아이콘 기반의 메뉴 시스템 덕분에 시각적인 탐색이 한층 쉬워졌습니다. 반면, 7PXR은 2.7인치 모노(단색) 디스플레이와 전통적인 버튼 및 텍스트 기반 메뉴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방식은 효율적이지만 처음 사용하는 사람에게는 다소 익숙해지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또한, 7PXR은 10PX의 30개보다 두 배 많은 60개의 모델 메모리를 지원해 다양한 차량 설정을 저장하는 데 유리합니다.
빌드 품질 및 디자인
두 송신기 모두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알루미늄 합금 케이스를 사용하지만, 10PX는 7PXR(약 680g)보다 무거운 약 900g으로 다소 크고 묵직한 편입니다. 이처럼 크기가 큰 10PX는 손에 더 안정적으로 잡히는 느낌을 주지만, 7PXR은 훨씬 컴팩트한 디자인으로 휴대성과 이동성이 뛰어나 백팩 등에 넣어 다니기 좋습니다.
기능 및 프로그래밍
처음 프로그래밍을 접하는 사용자라면, 10PX의 직관적인 'Futaba Telemetry' 앱이 큰 도움이 됩니다. 반면, 7PXR은 전통적인 Futaba 프로그래밍 케이블과 전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다소 복잡할 수 있지만 더 정밀한 설정이 가능합니다. 숙련된 RC 사용자들은 이러한 7PXR의 높은 조정 가능성을 선호하는 반면, 입문자들은 10PX의 앱 기반 간편 설정을 더 높이 평가합니다.
두 송신기 모두 다양한 원격 측정 데이터를 제공하지만, 10PX는 더 많은 채널과 센서 정보를 지원하여 자동 튜닝 및 성능 모니터링에 유리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범위 및 신호 강도
10PX는 최대 8.5와트의 출력으로 작동하는 반면, 7PXR은 최대 10와트까지 출력 조절이 가능합니다. 이로 인해 특히 고이득 안테나를 사용할 경우, 7PXR이 전체적인 송신 범위에서 약간 더 우위를 점하게 됩니다. 두 송신기 모두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사용하여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지만, 10PX는 사람이 많고 복잡한 트랙 환경에서는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좀 더 높습니다.
다양한 RC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송신기 사용
이제 일반적인 기능과 사양을 비교했으므로 특정 RC 차량에 10PX 또는 7PXR을 사용할 때 성능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레이서와 트랙 사용
하드코어 카 레이싱에서는 7PXR의 컴팩트한 크기와 최대 10W까지 조절 가능한 출력이 분명한 강점으로 작용합니다. 또한, 주변에 다른 운전자가 있어도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합니다. 10PX 역시 뛰어난 성능을 제공하지만, 상대적으로 큰 크기와 낮은 출력은 치열한 레이싱 환경에서는 다소 아쉬운 요소로 작용할 수 도 있습니다.
바셔와 일상의 바싱
뒷마당 혹은 길거리에서 RC를 주행하는 경우, 송신기의 범위보다는 크기와 내구성이 더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10PX는 더 크고 견고한 케이스를 갖추고 있으며, 초기 설정도 간단해 이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반면, 뒷마당 주행처럼 비교적 단순한 상황에서는 7PXR의 고급 튜닝 기능까지는 굳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크롤러 및 스케일 빌드
스케일 리얼리즘과 크롤링을 위해 차량/엔진 사운드 통합, 조명 제어, 디지털 게이지와 같은 기능이 경험을 더해줍니다. 10PX는 더 많은 내장 스케일 기능과 원격 측정 센서 옵션을 제공합니다. 대형 화면은 또한 세부 정보를 더 잘 보여줍니다. 크롤러의 경우 7PXR은 작업을 잘 수행하지만 10PX가 이상적입니다.
비용 및 가치 비교
처음 구매할 때 10PX의 MSRP는 약 700달러이고 7PXR은 약 500달러입니다. 따라서 10PX는 초기 비용이 더 높지만 더 큰 사용성과 기능을 통해 더 많은 가치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두 라디오 모두 판매할 계획이라면 재판매 가치를 잘 유지합니다. 7PXR은 기술이 계속 발전함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간 더 가치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예산이 부족한 사람들에게는 7PXR이 여전히 최고 수준의 성능을 제공합니다.
그래서 둘중 어떤걸 추천하느냐?
여러 비교를 바탕으로 어떤 송신기를 선택해야 할지에 대한 권장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열정적인 레이서라면 7PXR이 컴팩트한 사이즈와 뛰어난 조절성으로 우위를 점합니다.
초보 RC 애호가와 배셔에게는 10PX가 상자에서 꺼내자마자 사용하기 더 쉽습니다. 터치스크린과 원격측정 앱은 이 시장에 완벽합니다.
스케일 모델러와 크롤러에게 10PX의 몰입형 기능은 이상적인 선택이 될 것입니다.
7PXR에 더 많은 투자를 할 가치가 있는 주요 사례는 사용자 정의 가능한 프로그래밍과 출력 전력을 최대한 활용할 숙련된 RC 정비사인 경우입니다. 일반 사용자는 새롭고 사용하기 쉬운 10PX로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좋습니다.
10PX와 7PXR은 모두 Futaba가 알려진 고품질 무전기입니다. RC 모험에 적합한 고급 송신기를 결정하려면 개별 요구 사항과 예산을 고려해야 합니다.
T7PXR 박스와 T10PX 박스
다양한 RC 장르에 따른 차이점.
10PX와 7PXR은 모두 다양한 RC 차량 유형을 제어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각 라디오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더 적합하게 만드는 특정 강점이 있습니다.
비행기
RC 비행기의 경우 장거리 제어와 미세 조정 설정이 중요합니다. 7PXR은 10W 조정 가능한 출력과 소프트웨어를 통한 광범위한 프로그래밍 옵션으로 이 분야에서 탁월합니다. 고성능 비행기 조종사는 7PXR의 기능을 높이 평가할 것입니다.
10PX는 여전히 유능한 비행기 무전기이지만 스포츠 비행사에게 더 적합합니다. 낮은 전력 출력은 주거 지역 제어를 충분히 제공합니다. 원격 측정 센서는 또한 새로운 조종사가 대기 속도와 고도를 모니터링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헬리콥터
정밀성과 초미세 조정성은 RC 헬리콥터에 매우 중요합니다. 7PXR의 튜닝 잠재력은 성능 헬리콥터와 잘 맞습니다. 숙련된 헬리콥터 조종사는 피치 커브, 자이로 감도 등을 완벽하게 사용자 지정할 수 있습니다.
10PX는 캐주얼 스포츠 비행에 다시 한번 잘 맞습니다. 하지만 10PX의 더 제한적인 프로그래밍은 하드코어 헬리콥터 애호가가 원하는 모든 것을 제공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보트
RC 보트의 경우, 신호 문제가 발생할 경우 물 위에서 좋은 범위를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7PXR은 제어를 안심시키는 데 필요한 범위를 제공합니다. 7PXR은 또한 모든 마지막 설정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한 빠른 경쟁 보트에 더 적합합니다.
강이나 호수 주변을 순항하려는 사람들에게 10PX는 좋은 워터프런트 범위를 유지합니다. 10PX는 또한 보트 모터 온도, 전압 및 속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훌륭한 원격 측정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자동차
RC 자동차에 관해서 10PX는 정말 빛납니다. 다양한 원격 측정 옵션을 통해 가속, 제동, 온도 등의 설정을 추적하고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대형 화면은 10PX를 자동차의 시각적으로 인상적인 게이지를 표시하는 데도 완벽합니다.
7PXR은 화려한 시각적 특징이 부족하지만 여전히 놀라운 성능의 자동차 라디오입니다. 7PXR은 숙련된 운전자에게 트랙이나 경쟁에서 차량을 한계까지 밀어붙일 수 있는 완벽한 조정 기능을 제공합니다.
트럭
10PX의 내구성과 배쉬 친화적인 특성은 몬스터 트럭이나 픽업 트럭에 좋은 선택입니다. 간단한 스마트폰 스타일 튜닝 및 원격 측정 추적은 트럭 소유자가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필요할 때 기본적인 조정을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언제나 그렇듯이, 7PXR은 모든 힘을 짜내고 싶어하는 하드코어 트럭 애호가를 위한 완전한 커스터마이징을 제공합니다. 더 높은 출력의 추가 범위는 모든 유형의 지형에서 제어력을 잃지 않습니다. 따라서 고급 사용자는 여전히 7PXR을 선호할 수 있습니다.
지인들과 돌빡을 비비기 위해 '인천 아시아드 경기장' 내에 있는 인공 수변공간을 방문했습니다.
지난 10월경에 안양사 산행 이후로 정말 오랜만에 LCG 차량을 가지고 외부로 나와봤는데요
새로운 장소를 경험해보자 하여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위치는 대략 이렇습니다.
여름엔 수변 공간이라 물이 차서 제한이 좀 있고
지금은 동절기라 물이 없어 이용이 가능..
한참을 그렇게 즐기고 있는데,
갑자기 차량의 주행 반경이 이상해집니다.
드리프트 차량도 아닌데 바퀴의 모양에 캠버가 들어가보이네요
뭐지?
하고 차량을 들어 보니 축 쳐지는 우측 앞바퀴..
앗 견적이다.. ㅠㅠ
준비한 차량이 청새치 LCG뿐이라, 그 이후로는 돌빡타임이 아닌 노가리 타임이 되어버렸습니다.
크랙간 부분을 접사로 찍어봤습니다.
뽀각 두동강이 난 포탈너클..
파손 원인을 곰곰히 생각해봅니다.
1. 누적된 데미지로 인한 손상 - 장르 특성상 저속에서 높은 토크가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상황이 빈번하기도 하고 그 과정에서 특정 부위에 반복적인 하중이 걸릴 가능성. - 그 데미지가 누적되고 그로인해 파손부위에 미세한 균열(크랙)이 생기고 이 크랙이 점점 커지면서 어느 순간 완전히 파손되었을 가능성.
2. 재료의 품질 문제 - 포털 액슬부분의 만듬 재질이 강화 알루미늄(혹은 합금)으로 보이는데, 구매처가 중국산 알리발 이므로 아무래도 제조 과정에서 미세한 기공(기포)이나 불균일한 강도 분포가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 - 또는 특정 부분이 약해서 피로 누적이 빠르게 진행되었을 수도 있음.
3. 기온 변화나 환경적인 요인 - 낮은 온도에서 재질에 상관없이 깨질 가능성이 높아짐. - 주행당시 온도가 약 영상 2도~ 3도 사이였던것으로 보이는데 (날씨 어플로 확인) 상온날씨는 아니므로 영향이 있었을수도 있을것.
4. 설계적 문제 또는 충격 누적 - 포털 액슬 구조상 너클 부분은 도그본을 통해 오는 힘을 지탱하는데, 특정한 각도에서 지속적으로 작은 충격이 누적될 수 있음. - 서스펜션 세팅(예: 너무 단단한 쇽 스프링)이나 주행 스타일(예: 바위에 한쪽 바퀴가 반복적으로 걸리는 상황)도 영향을 줄 수 있음.
어찌되었든 차체의 큰 낙상은 없었으므로 한가지의 이유만으로는 아닌듯 싶고 여러 복합적인 형태의 누적치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이 LCG 차량을 빌드 후 제법 주행을 했던것 같은데 다시 재정비 해서 새 엑슬로 교체를 해주던지 아니면 파손된 부위를 용접(?)해서 붙이던지 하는 방법을 고민해 봐야겠습니다. (같은 알리발 엑슬로 갈아야 하나 고민아닌 고민이 되는건 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