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최종 완성샷입니다

사진이 많습니다 스크롤의 압박(스압)에 주의하세요


기어박스는 벌어짐 현상이 있어 케이블타이로 고정해두었습니다


살짝 보이는 캘리퍼와 브레이크 디스크


뒤집어진 브롱코의 주행테스트 영상입니다


출력물로 장착한 리어 쇽




전에 제작했던 Jeep 랭글러를 데려와 같이 투샷으로 담아봤습니다


둘다 각자 개성이 뚜렷한 멋진 차량들입니다


좌 풀3D출력 샷시 / 우 메탈+ 3D 출력 샷시


휠베이스는 브롱코가 살짝 더 큽니다
(브롱코 휠베이스 약 313mm)


이번 브롱코는 기존 랭글러와 달리 Full 3D 출력물로만 제작한 차량이라 그만큼 출력 시간 및 조립시간이 상당히 소요되었습니다 그리고 모든 준비를 다 하고 나서 제작에 돌입한것이 아닌 출력과 조립을 진행하면서 그때그때 필요한 용품을 구하느라 그만큼 시간이 들기도 했습니다

평일 늦은저녁에 틈틈히 진행해왔고 첫 게시글이 7월쯤이었으니 전체적으로는 약 4개월정도가 걸린것 같네요 제작하는 동안 너무 흥미롭고 즐겁고 재밌는 시간이었습니다
랭글러와는 또다른 메카닉적인 부분이 있어 더더욱 그러했던것 같습니다 1:8스케일의 RC 트라이얼이 두대가 작업대를 꽉채우네요
잠시 다른곳으로 주차장소를 옮겨주고
또 다른 프로젝트로 스토리를 이어가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ronco
출력물이 아닌 파츠 :
- 전기가 통해야하는 모든 기자재(모터, 변속기, 서보, 수신기, 배터리, 각종 케이블)
- 각종 베어링
- 플랜지 커플러(모터의 동력을 기어박스로 전달해주는 매개체역할)
- 타이어
- 창문
- 각 파츠를 결합해주는 볼트(나사) 이외의 모든 부품은 3D프린터로 출력한 출력물로 제작하였습니다


#포드브롱코 #제작브롱코 #브롱코만들기 #3D프린터 #알씨카제작 #알씨카만들기 #필라멘트 #트라이얼 #트라이얼모변 #브롱코제작 #포드브롱코 만들기

반응형
반응형


[3D프린터] 3RONCO 브롱코 제작기 - 11 - 샷시 바디 결합 및 완성


- 샷시 / 바디 결합 및 최종완성


우선 스페어타이어를 출력합니다

이 타이어는 필라멘트로 출력한 타이어라 딱딱한형태로 실제 차량 운용시 사용되는 파츠가 아닌 차량 후면부에 장착되어 오프로드카의 느낌을 주기 위해 장착되는 파츠입니다


반으로 쪼개져 모델링된 스페어 타이어를 출력에

안쪽에 나사로 합체 고정시킵니다


결합된 타이어는 차량 후면부 리어도어에 달려있는 리어행어에 달아줍니다


이어서 오픈형태가 아닌 커버를 제작해줍니다

커버 불투명 유리에 활용될 다이소표 파일철


가위로 적절하게 제단 후 유리처럼 사이에 끼워줍니다


썬팅 효과가 제법 나옵니다


추가 커버파츠까지 장착완료


이 커버는 오픈카 형태의 차량에 씌워주는 용도입니다

상황에 맞게 벗기거나 씌우거나 할수 있겠네요


샷시 테스트시 발견되었던 사항을 보완하기 위해
아래 사진처럼 서보 동작시 발생하는 유격을 잡아주고자 0.2t 철판을 구부려 양쪽에 달아주었습니다

샷시 및 서보 거치대는 출력시 내부채움을 100%로 셋팅 후 출력하였지만, 아무래도 PLA필라멘트 특성상 강성에 한계가 있기에 유격이 발생하여 이를 보완하기 위함입니다 철판을 대어준후는 유격이 많이 잡혔습니다


이제 바디를 뒤집어 눞히고
샷시 자리에 샷시를 올려줍니다


일반 RC카는 바디 오픈시 쉽게 열고 닫을 수 있지만, 이 3Ronco(브롱코)의 경우는 여러개의 나사(볼트)로 고정 결합되는 형태입니다


나서를 많이 사용한 만큼 바디를 벗겨낼때는 또 그만큼 빼내야 되겠죠


여기도 고정시키고, 또 이쪽도 고정시키고


이어서 리어쪽 범퍼를 달아줍니다


스페어타이어와 뒷범퍼 장착완료


요건 프론트 범퍼


사이드 스텝도 양쪽에 달아줍니다


요롷게 장착됩니다


앞범퍼 바닥 스크래치를 보호 해주는 스키드 플레이트를 장착합니다


밑에서 보면 이런 모습입니다


뒷좌석을 잠시 빼서 배선을 위해 나있는 구멍에 전원 연결케이블을 연결합니다
이 케이블은 차량 앞쪽 본닛에 위치할 변속기(ESC)와 연결되어 집니다


이 전원 연장케이블은 딘스짹 암과 수를 구입해 약 10cm정도의 구리 전선에 남땜으로 직접 제작하였습니다

뒷좌석 안장 구멍으로 빼꼼 나오도록 빼낸 후 다시 안장 장착

배터리가 위치할 트렁크에 빼꼼 나온 연장케이블


트렁크에 배터리를 장착하면 이런모습입니다


본닛을 열면 모터만 자리하고 있는 엔진룸


이 엔진룸에 변속기(ESC) 와 수신기를 연결하고 움직이지 않도록 양면테잎으로 고정시킵니다.
그리고 모터선과 전원선을 연결 후 선정리로 기자재까지 모두 장착 완료!


기자재 장착을 끝으로
완성!!

드디어 귀욤귀욤하고 늠름한 자태의 브롱코가 완성되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완성된 뉴브롱코의 모습을 구석구석 살펴보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3RONCO 조립기 10
- 바디조립 3rd(세번째)

익스테리어는 얼추 완성되었으니

인테리어를 조립해 보겠습니다.

우선뒷자석과 바닥을 먼저 조립 후 차량에 장착해줍니다.

이렇게 올라가고, 모양은 딱 들어 맞습니다.


움직이지 않게 볼트로 박아줍니다.


그다음 전면부 대시보드 차례!

스티어링 휠 (일명 핸들)을 장착해주고

대시보드를 통채로 달아줍니다.

대시보드가 장착된 모습

차량 바닥 가운데 부분이 파랗게 뭔가 비어보이네요

이어서 센터페시아에 기어 시프트레버(일명 기어봉)를 달아주고 콘솔박스와 일체형인 파츠를 장착해줍니다.


그리고 앞 열 의자를 달아줍니다.


인테리어 파츠를 모두 장착한 모습!

자세히 보면 클러치, 브레이크, 악셀 패드도 구현되어 있습니다

실차 느낌이 물씬나는 인테리어 모습


계속해서 차량 전면부를 완성시켜보겠습니다.

전면 그릴과 방향지시등, 헤드라이트 파츠를 준비합니다.


좌우 깜빡이는 투명느낌의 주황색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출력했습니다.
(3D펜용 필라멘트가 다행히 있어서 추가 구매없이 사용, 3D펜용 필라멘트를 3D프린터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필라멘트 두께가 1.75mm일 경우만 해당)

흰색 헤드라이트는 흰색으로 출력했는데

이 헤드라이트에 추후 LED를 심어 실제 빛이 발산되도록 구현하고 싶어서 고민을 좀 했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FDM 프린터(필라멘트를 녹여서 출력하는 방식)로는 투명한 결과물을 얻기가 어려워서
SLA 프린터(빛으로 레진을 경화시켜 출력하는 방식)로 뽑은 출력물을 원했고, 이거 뽑자고 프린터를 새로 사 들일수는 없으니 전문 출력 업체에 출력해줄 수 있냐고 의뢰를 했습니다.
돌아오는 답변은.. 새 필라멘트 6롤을 살수 있는 가격으로 제시를 하시네요... 헐
엄지손가락 한마디 정도 되는 크기 두개를 뽑는 견적이 말이죠...(할말하않) 때문에 과감히 포기하고 흰색으로 출력후 달아주었습니다.


완성된 그릴을 차량 전면에 달아줍니다.


차량의 네이밍인 3RONCO 이니셜 중 '3'자를 정식 글자인 'B'로 교체하기 위해 제거했습니다.

 

 

< B가 아닌 3으로 모델링 된 원본파일 >


후딱 3을 B로 수정후 출력합니다.


출력된 글자는 한글자씩 도려내주고


도려낸 글자를 정성스럽게 순간접착제를 이용해 붙여줍니다.


이제 3롱코가 진짜 브롱코가 되었네요!


이로써 최종적으로 바디가 완성되었습니다.

이제 끝이 보이는것 같습니다.

다음글에는 주행테스트를 마친 샷시에 바디를 씌워 최종 완성시켜 보겠습니다.





.
.
.





브롱코자작,브롱코제작,뉴브롱코,구브롱코,포트브롱코,브롱코자작,포드브롱코자작

반응형
반응형

3RONCO 조립기 8
- 바디조립 2nd(두번째)


앞 유리창이 장착될 A필러 모습입니다.

이 역시 공중에 출력물을 만들 수 없으니 임시의 가공물을 만들어(서포트) 그 위에 출력을 한 형태이고
완성시 이 서포트들을 싹 제거 해주고 필요한 부분만 남깁니다.

손으로 힘을 주어 떨어지긴 하나, 필라멘트가 굳으면 딱딱해지기도 하고 위와같이 살려야할 부분이 외소하고 견고하지 못하다면 도구의 힘을 빌려 제거하는것도 좋은 방법이겠네요

깔끔히 제거되었습니다.


위치할 자리에 대보고 체결할 볼트의 구멍을 확인합니다.

막혀있거나 혹은 이물질이 끼어있으면 볼트가 제대로 들어가지 않으니, 핀바이스로 깔끔히 정리해주면 볼트 박기가 수월합니다.


A필러 장착 후 이어지는 차체 프레임도 달아줍니다.


차량 양쪽 사이드미러가 달린 카울탑을 달아주고

보닛을 연결해줍니다.


리드(리어 도어)는 스페어 타이어가 달릴 파츠가 있으니 연결해주고

차량 뒷쪽 자리에 연결해줍니다.

모든 문은 역시 힌지로 연결되어있어 열고 닫기가 수월하게 되어있습니다.


외관 익스테리어는 얼추 진행되었으니, 이제 인테리어로 넘어가보겠습니다.


차량의 바닥이 되어줄 파츠를 정리 후 올려줍니다.


좌측 운전석쪽에는 귀엽게 클러치, 브레이크, 악셀 패드가 구현되어 있네요


양쪽 문은 이렇게 디자인 되어 있습니다.

차문 안쪽 망사주머니(?)도 표현되었네요~

둘이 결합하고
본체에 연결시켜줍니다.


차량문은 별도의 볼트결합없이 힌지에 끼워 맞추는 형태로 되어있습니다

양쪽 문을 완성하고 본체에 연결해줍니다

여닫이 문이니 열고 닫아 보면서 잘 움직이는지 봐주구요

무리없이 열고 닫힙니다


다음글에서는 나머지 인테리어를 조립해서 바디를 완성시켜보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3RONCO 조립기 8
- 바디조립 1st (첫번째)

3롱코의 바디는 파란색으로 정했습니다

프린터로 한참 일을시켜 출력된 파츠들


우선 갖 출력되어져 나온 파츠는 아래 사진과 같이 서포터(지지대)포함 불필요한 노즐 똥같은 것들이 많이 달려있습니다


니퍼와 디버링툴, 아트나이프 등의 도구로 말끔히 제거하는게 꼭 필요합니다

출력 후 지저분한것들을 싹 정리한 모습

이런...;;
짧은 크기의 M2 나사(볼트)가 바닥을 보이기 시작합니다 볼트가 없으면 조립을 할 수 없기에 서둘러 인근 오프라인 볼트매장으로 가서 소량을 요구하니, 소량은 판매가 안되고 한팩을 통으로 구매를 해야한답니다.

조립에 필요한 볼트는 길이별 6가지 종류 약 150개씩인데
한팩은 1000개(한팩당 4만5천원*6팩=27만원?!)

뭐 사놓으면 언젠간 두고두고 쓰겠지만, 그래도 이건 아니것같아
고민끝에 오프라인 구매를 포기하고 온라인샵을 검색하니 역시 소량 판매도하네요! 바로 주문해서 받았습니다

케이스에 들어있는 볼트는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것들,

아래 지퍼팩에 든 볼트가 새로 구입한 볼트인데, 모두 검정색 스틸로 주문했지만 재고 부족으로 3종류는 스댕으로 보내줬네요
볼트의 색은 크게 중요하지 않으므로 스킵.

바디 파츠를 임시로 대서 각을 재봅니다


차량 문이 장착될 힌지를 달아주고


반으로 갈린 왼쪽 오른쪽을 맞대어 연결해봅니다


좌우 연결은 M&M 초코볼 크기의 연결 부품으로 결합합니다


결합 완료


앞범퍼도 달아줘야겠죠


범퍼 장착 완료


전체적인 외관 즉 익스테리어가 얼추 완성이 되었습니다

대략 크기를 보니 1/8사이즈의 크기를 실감케 합니다
기존 랭글러는 1/10이었는데 체감상 상당히 크게 느껴지네요

다음글에는 이어서 보닛과 각 도어, 인테리어를 장착시켜보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3RONCO 조립기 7
- 휠타이어 장착 및 주행테스트


휠을 출력하기 전 먼저 장착되어야할

브레이크 디스크와 캘리퍼를 출력했습니다.

사실 주행에 영향을 주는 부품은 아니지만, 그래도 외관상 리얼함을 더하기 위해 생략하지 않고 적용해 보았습니다.

실버틱한 필라멘트가 없어 도색해주기로 하고 우선 흰색으로 출력했고

캘리퍼는 노란색 필라멘트를 이용해 출력했습니다.


브레이크 디스크의 도색은 타미야 페인터 마커(메탈컬러)를 이용했습니다.


대충 슥슥 칠해줘도 은색 메탈 디스크로 느낌이 확 살아나네요


다 칠한 디스크는 건조 후 너클암에 그대로 장착


이제 휠을 출력합니다.

출력된 휠의 안쪽은 서포터로 가득차있으니, 서포터를 모두 제거하고 너클암과 연결되어야할 나사 구멍을 핀바이스로 깔끔히 다듬어줍니다.


타이어는 중고로 구매한 트랙사스사에서 출시한 정품 타이어를 사용하겠습니다.

마음같아선 타이어도 프린터로 출력해서 활용해보고 싶지만, 제가 가지고 있는 3D프린터로는 탄성이 있는 플렉시블 필라멘트를 출력할수 없는 방식의 프린터 입니다. (보우덴 방식과 직결 방식의 차이, 제 프린터는 보우덴방식)
또 타이어는 주행에 큰 영향을 끼치므로, 어쩔수 없이 기성품 타이어를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휠에 타이어를 씌우고,
그대로 너클암에 튀어나와있는 6개의 볼트에 그대로 연결합니다.

맨손으로 하기엔 너무나 작은 M2너트를 사용해야하므로 주둥이가 긴 롱로즈 니퍼를 활용합니다.


휠타이어 장착 완료

휠 구멍 사이로 브레이크 디스크와 캘리퍼가 살짝 보이네요


4군데 바퀴를 모두 장착해주었습니다.


이제 주행 테스트를 할 수 있게 모두 준비되었습니다.

1차 주행테스트 영상!!!

아직 처음 주행테스트라 전체적인 밸런스 셋팅이 좀 필요할것 같습니다.

문제점을 정리해보면
첫째. 서보장착 유격발생으로 인한 조향의 부자연스러움
둘째. 바퀴 회전시 각각의 너트 조임이 균일하지 못해 꿀렁거림
셋째. 기어박스의 벌어짐

해결책.
1. 서보 유격잡기
2. 휠 너트 균일화
3. 기어박스 벌어짐 방지 최소화

주행 밸런스를 잡기 위해 고민해서 해결해줘야겠습니다.

해결방안에 대해서는 천천히 좀더 고민을 해보고 결정 후 조치해야할것 같습니다.

다음글에는 바디(차량의 외관)을 조립해 보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3RONCO 조립기 6
- 샷시에 기어박스/액슬/쇽/서보 장착

메인 샷시(섀시)에 완성된 기어박스 / 프론트 액슬 / 리어액슬 / 쇽 / 서보를 장착시켜보겠습니다.


첫번째로 프론트 액슬을 샷시에 장착합니다


이후 모터를 지지해줄 지지대를 연결하고
그 위로 기어박스를 올려 장착합니다.


프론트 액슬 및 기어박스 장착 완료


측면에서 보면 이런 모습입니다.


다음 리어 액슬 차례

우선 기어박스와 리어액슬간의 동력을 전달해줄 드라이브 샤프트가 필요합니다.


드라이브 샤프트에 달아줄 스프링을 출력합니다.

스프링을 구매해 달아줄수도 있겠지만,
가급적이면 최대한 출력물로 완성시키고 싶어 스프링도 출력으로 진행 해봤습니다.

일반적인 서포트로 설정하고 출력을 하니, 나선형의 스프링형태를 지지하지 못하고 엉망으로 출력됩니다.

그래서 서포트를 트리(Tree) 형태로 변경하여 출력 후 서포트를 모두 제거하였습니다.


출력된 스프링과 쇽 구성 파츠


드라이브 샤프트에는 짧은 스프링 1개만 연결해서

기어박스와 연결하고 그 반대부분은 리어 액슬과 연결합니다.


그리고 링크로드를 연결시켜 자리를 위치시킵니다.

아직은 링크로드로만 연결되어있고, 샷시와는 떨어져서 붕 떠 있는 상태.


이어서 리어의 충격을 완충시킬 쇽을 조립합니다.

출력한 스프링으로 연결파츠와 결합합니다.


쇽을 지지할 지지대 최종 연결시켜


리어 쇽을 완성시킵니다.

(이 리어 쇽은 일반적인 八 자 형태의 쇽이 아닌 샷시 상단에 장착되어지는 형태의 쇽 구성입니다. 그래서 짧고 관절이 있는 이유)


사진처럼 지지대에 장착 후 통채로 샷시에 연결됩니다.

샷시에 리어 쇽 장착 완료


후면에서 보면 이런 모습입니다.

아무래도 금속으로 만들어진 스프링이 아닌

필라멘트로 출력한 출력물이기에 강성 및 쇽으로써의 역할(상하 충격 완화)을 제대로 해줄까 싶기도 하지만

위에서 언급했듯 최대한 출력물로만 차량을 완성시키고 싶었기에 감행한 부분이고,

추후 업그레이드를 통해 금속 스프링으로 교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알리에서 스프링에 배송되고 있는중)


자 이제 조향을 담당할 서보를 장착해보겠습니다.


서보마운트에 장착해주고 연결 파츠를 달아줍니다.


서보 박스 완성


역시 그대로 샷시에 장착해줍니다.

서보관련 파츠는 출력물을 뒤집어 장착하게 되어있네요
그래서 다른 파츠에 비해 외관이 깔끔하지 않습니다.


이어서 프론트 쇽을 준비합니다.

리어쇽과는 달게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 \ 자 형태의 쇽이라 스프링의 길이가 깁니다.


모터위에 모자처럼 씌워질 쇽 마운트를 장착하고

프론트 액슬 좌/우측과 쇽마운트의 좌/우를 쇽으로 연결해줍니다.


그냥 갖다 댔을때는 이렇게 긴 형태이고,

스프링에 텐션이 필요하므로 수직으로 힘을 가해 스프링이 납작하게 만든다음 마운트에 장착합니다.

쇽 장착 완성

이로써
샷시에 기자재 및 모든 필요 부품이 장착 완료되었습니다

이렇게 사진을 보니 모터가 약간 기울어 달린듯해 보이네요
장착을 위해 모터에 뚤려있는 정해진 구멍에 연결하려다 보니 어쩔수 없는 부분이었습니다. 주행에는 영향없으니 패스~

전체적인 주행이 어떨까 정말 궁금합니다.

빨리 굴려보고 싶네요

다음글에는 휠과 타이어를 장착하고 바디를 씌우기전 주행 테스트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산와(SANWA) MX6 메뉴얼(한글)

산와(SANWA) MX6 메뉴얼(한글) 다운로드

SANWA_MX6_한글메뉴얼.pdf
2.21MB

반응형
반응형

산와(SANWA) M11 메뉴얼(한글)

 

산와(SANWA) M11 메뉴얼(한글) 다운로드

SANWA_M11_한글메뉴얼.pdf
2.57MB

 

반응형
반응형

ISDT D2 충전기 메뉴얼

 

ISDT 공식 홈페이지

https://www.isdt.co/support?lang=en 

 

Support - ISDT

 

www.isdt.co

 

ISDT 메뉴얼 다운로드

ISDT_D2_en.pdf
0.33MB

반응형

+ Recent post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