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컨제입니다.
 
디라이크 RE-R 하이브리드 제로 샷시를 휠베이스 260 → 273으로 컨버전 후 
 
일반적인 휠베 260의 바디는 사용을 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273전용 바디를 사용하거나, 혹은 260바디 2개를 자르고 붙여서 273으로 만드는 방법이 있지만
우선은 전자를 선택해 보기로 합니다.
 
273바디는 시중에서 흔히 구하기 어려운 바디로 재고도 많이 없을뿐더러 해외배송을 이용해야 하는등 구하기 난이도가 상당한 바디에 해당됩니다.
 
그러다
RC카페에서 우연찮게 좋은 기회로 273 클리어 바디를 저렴한 가격에 구입 할 수 있었습니다.
 
이 바디의 차종은 Dodge Challenger SRT (닷지 챌린저 SRT)
 
 
컨버전한 273 샷시에 씌워서 휠베이스 일치여부를 확인합니다.
 
정확히 들어맞는군요

 
우선 어떤 색으로 도색할지 행복한 고민에 빠져봅니다.
 
구글에서 닷지 챌린저 관련 검색을 통해 원하는 색상을 찾았습니다. 
 
이대로 진행해보려고 합니다.

 
 
프론트 그릴과 리어스포일러등 자잘한 파츠는 수지로 이미 만들어져 있어 디테일 업하기 좋은 바디 같습니다.

 
우선 윈도우 마스킹을 해야겠죠.
 
퐁퐁으로 깨끗히 씻은 클리어바디와 마스킹 테잎을 준비합니다.

 
본닛부분은 검정색으로 칠할 예정이니 마스킹처리하고
 
윈도우 부분을 모두 마스킹해줍니다.

 
 
특이하게 이 바디는 외부에 필름이 붙여져 있지 않아 혹시모를 색이 입지 칠해지지 않도록 비닐로 한번 감싸주었습니다.
 
그리고 각종 타미야 PS도료를 준비합니다.

 
외부에 나가 바람을 등지고 도색을 시작.
 
제일 처음 PS-58 펄 클리어로 1차 뿌려주고
 
2차로 PS-28 형광그린
3차로 PS-27 형광옐로우

 
4차로 PS-8 라이트그린을 뿌려주었습니다.
5차로 깊은 색을 내기위해 PS-12 실버를 뿌려주었고

본닛에 붙여둔 마스킹 테잎을 제거하고
 
마무리로 6차 검정색 PS-5로 마무리를 해주었습니다.


이대로 끝이 아니죠ㅎ

전후좌우 창틀 프레임 도색이 남았습니다. 외부 비닐이 없어서 직접 마스킹하고 라인을 땃습니다.

창틀 도색 완료!
네임펜으로 먹선도 슥슥 그려고 넣어주고


악세서리 장착 및 자작 데칼로 마무리해서 최종 완성시켰습니다.


옆태는 이런모습


뒷모습은 이렇습니다.

 

 

역시 타인에게 의뢰하는것보다 직접 손으로 제작하면서 느끼는 만족감이 더 큰것 같습니다.

이상 닷지챌린져 바디도색기를 마칩니다.

.

.

.

 

완성 사진 및 서킷 주행 영상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https://kernzeroid.tistory.com/225

 

[휠베이스 273] 닷지 챌린저 바디 완성 샷

컨제입니다. 휠베이스 273 차량에 씌워줄 바디가 완성되었습니다. 사용바디는 교소 닷지챌린저 클리어바디 입니다.   옆모습은 이렇구요뒷모습은 이렇습니다. 드리프트하이 서킷 ㄱㄱ 바디

kernzeroid.tistory.com

 

 

- 끗 - 

반응형
반응형

컨제입니다.
 
주 메인킷으로 잘 굴러가주고 있는 브론즈 하이브리드
 
리어쪽 볼디프 주변에 그리스와 먼지, 타이어가루등 매우 지저분하게 오염이 되어 있습니다.
 
그도 그럴듯, 주행에만 전념해온터라 깨끗이 닦아준게 언젠지 기억이 안날 정도이니까요..;
 
 
그래서 모처럼 시간을 내어 메인터넌스(Maintenance/유지보수)를 진행해보고자 했습니다.
 
배터리 마운트를 시작으로 하나씩 볼트를 풀어 메인 드라이브 샤프트를 빼내고
닦고 조이고 기름칠하며 상태를 점검하던 중
 
이상함을 감지됩니다.

 
어라? 센터 샤프트 상태가!!

 
드라이브 컵 안에 내부 무두볼트를 풀어 분해를 해서 상태를 확인해보니
 
이런.. 마모되고 깨져나가서 상태가 말이 아니네요.
 
뭐 이대로 주행은 얼추 되긴 하겠지만, 역시나 무리한 주행으로 인해 드라이브샤프트 뿐만 아니라 주변 베어링이나 기어등에 데미지가 가해질것 같아 교체를 하기로 합니다.

 
 
안쪽 헤드부분이 마모되고 깨져나간 모습

 

교체해줄 새 파츠가 필요한상황
 
드하샵에 들러 DL401 파츠를 구매합니다.
 
정식명칭 【DL401-3】 센터 드라이브 샤프트 ver.리밋 아웃 (조인트 타입)

 
이 센터 드라이브 샤프트는 3가지 버전으로 출시되고 있습니다.
 
DL401 / 순정파츠
DL401-2  / 업그레이드 버전
DL402-3 / 업그레이드 버전 + 고속회전용
 
 
휠베 273 차체에 적용해줄 DL401과 브론즈 하브에 적용할 DL401-3 비교샷!
 
# 휠베 273 적용기는 https://kernzeroid.tistory.com/217 여기에 올려두었습니다.

 
 
아무래도 브론즈하브에 사용하는 변속기가 200A라 고속회전을 주로 사용하므로 버전3로 구매해 보았습니다.
 
좌측 기존 샤프트
우측 신형 버전3 샤프트

 

버전3는 베벨기어 마운트 부분과 만나는 접점이 약간 모아지는 형태입니다.

이 끝부분이 차이가 있습니다.

 
 
새 제품은 이렇게 깔끔히 헤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별할것 없이 깨진 샤프트를 제거하고 새로운 샤프트로 교체해줍니다.

 
 
큰 의미는 없지만, 깔끔한 마무리를 위해 수축튜브로 한번더 감싸주었습니다.

 
 
센터 드라이브 샤프트는 교체 완료!
 
이대로 마무리를 해도 되지만,
 
 기왕 정비를 하려고 마음먹었으니 리어부분쪽은 다 뜯어봅니다.

 
 
멀티링크도 분해하고 볼디프도 빼서 기름때좀 닦아주고..

 
모든 파츠들이 묵은 때를 벗고 깔끔해지니 기분도 좋아집니다.
 
빨리 정비하고 또 주행하고 싶습니다.
 
이상 브론드 하브 센터드샤 교체기를 마칩니다.
 
- 끗 - 
 
 
 
 

반응형
반응형

컨제입니다.
 
무게추를 제작해보고자 합니다.
 
사실, 제작 이랄 것도 없이, 평납 5g 무게추를 그대로 장착하는게 보기가 싫어 외부 케이스(하우징)를 만들어 보고자 함입니다.
 
 

5g짜리 무게 추



우선 평납의 크기를 재고 그에 맞게 퓨전 360으로 도면을 그립니다.

 

높이를 맞춰 올려주고

 

뚜껑도 그려서 완성

 

완성된 파일을 오르카 슬라이서로 가져가서 슬라이스 합니다.

 
그리고 검정색 필라멘트를 3D프린터에 넣어주고 출력을 시작!
 
약 18분정도 만에 완성이 되어 나왔습니다.
 



자 이제 여기에 평납을 넣기만 하면 됩니다.
넣어보니 딱 맞게 들어가네요



바닥에 4개, 그 위로 4개
5g짜리 평납 8개를 넣었으니 5 x 8 = 40g

 

e6000 본드로 살짝 발라주고 뚜껑을 덮어줍니다.


단단히 붙여진 평납케이스



자 이제 이걸 쓰려면 구멍이 필요하겠죠
역시 3mm 드릴비트를 준비해서 신나게 뚫어줍니다.


뚫은 구멍으로 인해 무게가 살짝 가벼워졌을것 같네요
총 무게가 얼마나 되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웨이트로 재어보니 딱 44g나오네요
40g에 케이스 및 e6000무게가 4g정도 되나봅니다.


다되었으니 장착!

기존 MST납과 카본 그리고 자작무게추를 통으로 하나로 다 관동해 체결할 수 있도록 M3 30mm 나사를 준비합니다.

아랫부분엔 락너트로 빠지지않도록 고정시켜 완성!!



Before) 적용 전


After) 적용 후

차량 정비중이라 탈착되어 있는 리어 바디마운트


이상 지저분한 평납을 깔끔히 장착할 수 있게 무게추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지인에게 보여주니 호감을 보여 케이스 하나 뽑아 전달해야겠습니다ㅎ

이상 무게추 하우징 제작기를 마칩니다.

- 끗 -

반응형
반응형

컨제입니다.

 

 
디라이크 RE-R 하이브리드 제로(D-Like RE-R Hybrid Zero)는 가급적 순정 상태를 유지해 주행을 하려고 하는 편입니다.


휠베이스 273 컨버전시 어쩔수 없이 기존 부품을 사용할 수 없기에 추가 부품을 구매해서 사용했지만, 가급적 옵션을 적용치 않고 굴리려고 했는데, 그래도 조금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성능을 끌어올릴 필요성을 느낍니다.
 
그래서 무조건 있어야하는 바디마운트 등은 옵션을 제외하고
 
필수(必반드시 필; 修배울 수), 그러니까 있으면 좋고 없어도 상관없는 옵션성 제품이 아닌
반드시 필요한 필수옵션을 장착해 보려합니다.
 
필수라는건 주행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과연 얼마나 업그레이드 될지 궁금합니다.
 
 
 
우선 필수옵션 4가지를 준비합니다.
 
1. 【DL325-2】 RDS 스트롱 기어 볼디프용(40T/12T)
2. 【DL401-2】 센터 드라이브 샤프트(조인트 타입)
 
3. 【DL351】 스트롱 디프 조인트(프로텍터 사양)(볼 디프용)
4. 【DL332】 도그본(유니버셜) 프로텍터
 
 
옵션 장착 전 

 
 
우선 볼디프 DL325 옵션을 적용하려면 추가로 DL401이 같이 적용되어야 합니다.
 
순정은 40T / 17T로 높은 기어비로 인해 고출력을 내기 한계가 있지만
이 옵션 적용시 40T / 12T로 기어량이 작아지면서 기어비가 낮아져 기존대비 좀더 고출력을 뽑아 낼 수 있다고 합니다.

 

 

DL351 디프 조인트 사용시는 역시 DL332 가 같이 적용되어야 합니다. (아래 사진 참고)
 
이 DL351옵션이 필요한 이유는 도그본(유니버셜)이 디프 조인트컵을 조금씩 갉아먹으면서 유격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해주기 위한 목적이라고 합니다.
아무래도 유격이 생기면 구동계의 베어링이나 기어류들이 조금씩 데미지를 입게 되고 파손까지 가는 상황이 발생할 수 도 있기에 가급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함 이겠죠

 
 
DL325 에 설명서가 동봉되어 있네요

교체 방법은 이렇습니다.

 

대략적인 절차는 눈에 익혔으니 적용해봐야겠죠.
 

차체를 가져오고


당연한 말이지만, 분해는 조립의 역순이므로 메뉴얼을 펼치고 교체 부품의 위치를 확인 후 하나씩 천천히 분해를 진행합니다.

 
우선 디프 조인트부터 진행해봅니다.
 
왼쪽이 순정, 오른쪽이 옵션부품입니다.
 
옵션제품이 뚫려있는게 더 넓네요 (프로텍터가 들어갈 구멍때문인듯)

 

잘 진행하다가

 

.

.

.

 

이런... 사고가 터졌습니다.....ㅠ

볼디프 기어를 분해시 힘조절 실패로 그만 디프볼 8개를 공중으로 날려버렸습니다...

 

방안 여기저기 흩어져버린 지름 1mm 크기의 쇠구슬들.... 

 

찾고 찾아 6개는 찾았지만 나머지 2개를 찾지 못하겠네요. 이런;;

 

 

어쩔수없이 몇일 후 드리프트하이 서킷에 방문해 쇠구슬을 구매했습니다.

파츠명 【DL912-Z】이고 작은 볼 8개가 들어가있는 파츠입니다.

우측 6개는 공중에 날렸다가 겨우겨우 찾은 6개의 디프볼

 

 

커피한잔 마신샘 치고 새로 구입한 트러스츠 볼 8개 (작은크기)를 조립순서에 맞게 잘 넣어주고 나사로 막아줍니다.

 

거꾸로 새어나오는걸 방지하기 위해 임시로 MIP 드라이버 보호캡을 넣어놔주고(나중엔 뺄용도)

 

볼디프 기어를 분해해 기존 순정파츠와 비교해봅니다.

 

좌측이 순정, 우측이 추가할 옵션

 

확실히 옵션이 두께도 두껍고 무게도 묵직합니다. 무게로 인한 트랙션 Up↑

 

 

볼디프 안에 있는 큰 디프볼까지 모두 옮겨주고 나사로 조여주어 완성.

 

 

도그본(개뼈)에는 프로텍터를 끼워줍니다.

 

 

프로텍터는 수지재질이라 유연해서 끼우기 어렵진 않습니다.

 

 

이제 센터드라이브 샤프트쪽 베벨기어(일명 초코송이)를 바꿔줄 차례

 

 

기존 순정품을 제거하고, 옵션 【DL401-2】 파츠로 교체해줍니다.

 

 

이 파츠에는 핀이 빠지지 않도록 고무링도 동봉되어 있는데,

이 고무링이 시간이 지나게 되면 탄성이 약해져 고속으로 샤프트가 회전시 핀이 고무링을 뚫고 날아갈 경우도 있다고 해서 보험차원으로 수축튜브를 감싸주어 한번더 핀이 날아가지 않도록 해 두었습니다.

 

분해된 모든 부품을 다시 원래대로 조립합니다.

 

볼디프도 다시 장착하고, 쇽타워랑 리어마운트도 다시 연결하고 마지막 배터리마운트까지 재조립 완성!

 

이제 주행을 해봐야겠죠.

 

방구석 테스트 주행은 어느정도 만족!

돌아오는 주말을 이용해 드리프트하이 서킷을 방문해서 본격적으로 테스트 주행을 해 볼 예정입니다. 

 

멋지게 잘 가주길 바라며~

 

이상 디라이크 하이브리드제로(일명 하브제로) 필수옵션 장착기를 마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끗 - 

반응형
반응형

컨제입니다.
 
RC를 하다보니, 전선규격까지 알아보게 되는군요.
 
배터리로 움직이는 RC이므로 전선은 뺄수없는 필수중의 필수인데
 
그중에서 성능과는 무관하지만 외관을 꾸미고 실차느낌을 줄 수 있게 해주는 LED는 RC에 큰 재미요소중 하나인것 같습니다.
 
이 화려하게 꾸며주는 LED는 물론 시중에 파는 완제품도 있겠지만
 
좀더 커스텀하게 원하는데로 연결하고 붙이는 과정이 필요하다면 남땜과 LED 그리고 그걸 연결해주는 전선이 필요하겠습니다.
 
그래서 뭣모를때는 아무꺼나 남아도는 전선을 이용해 LED를 연결해왔는데,
 
전류가 낮은 LED에 과한 두께의 전선으로 연결해서 바디의 무게감이 올라갔다던지 하는 불필요한 문제점(?)이 발생하는것 같아 적당히 맞는 전선을 찾아보고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전선에 측면을 자세히 살펴보면 숫자와 함께 AWG라는 용어가 적혀 있습니다.


 

AWG가 무엇인가?

 
AWG (American Wire Gauge) 즉 미국 전선 규격을 뜻합니다.
 
이는 미국에서 정한 규격으로 미국 뿐만 아니라 그 외 지역에서 구리, 알루미늄 및 기타 전선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로서, 전선의 지름 11.680 mm를 AWG 0으로, 0.127 mm를 AWG 36으로 하고, 그 사이를 39 단계로 나눈 전선굵기 번호 체계를 말합니다.
 
전선규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AWG가 낮을수록 선의 굵기가 더 굵고 높을수록 가늘다 보면됩니다.
 
전선이 굵으면 전기적 간섭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더 적고(안정적이게 되고), 반대로 얇으면 간섭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많아집니다(불안정적).
 
일반적으로 지름이 더 가는(얇은) 전선은 동일한 거리에서 굵은 전선이 전송할 수 있는 량 만큼의 전류를 전송하지 못하게 됩니다. 허용 전류는 케이블의 단면적에 비례하며, 대략 1제곱밀리미터 당 10A(암페어) 정도 입니다. (가정용 220V 구리선은 대게 AWG 14 사용)
 
전기만 통하면 된다고 아무 전선이나 사용하면 안되고, 사용전류에 맞게 적정한 굵기의 전선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굵은 전선에 약한 전류가 흐르는건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만약 가느다란 전선에 아주 많은 값의 전류가 흐르면
그 전선 내의 저항성분으로 인해 점차 뜨거워지고 급기야는 화재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합선의 성질을 가지는 누전이 발생하면 전선에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고, 만일 그 전선이 과전류를 견디지 못하면 피복이 녹으면서 화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 크기를 비교한 사진을 보겠습니다.

 
 
변속기와 모터 사이에는 과도한 전류가 순간적으로 흐를 수 있기에 
숫자가 낮은 AWG 전선을 사용해야 합니다.
 
보통 12AWG를 사용하곤 합니다.
(변속기 제조사에서 사용하는 전선이 12AWG이며, 전선 두께로 인해 기자재 배치가 어려울경우 14AWG도 사용 가능)
 
하지만 LED같은 낮은 전류를 사용하는 장치들은 얇은 전선을 사용해도 무방하겠습니다.
 
 
 
직접 LED에 사용하려고 22AWG 전선을 구매해봤는데, 좀 두꺼운감이 없잖아 있습니다.
 
LED 40~50개를 한번에 연결해서 모든 전류를 하나의 케이블로 모아 흐르게 한다면야 모를까 단순히 한두개의 LED를 켜기위해 22AWG 전선을 사용한다는건 좀 과한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래도 좀 안정적인게 좋다 하면 26 AWG 케이블이 맞을것 같고, 좀더 얇은걸 원하면 28AWG가 맞을것 같습니다.
 
물론 정답은 없습니다.
사용전류에 딱 맞춰 전선을 선택하기 보단 약간의 여유가 있게 선택하는것이 좋겠지만, 
아무래도 RC에서 사용하는 전류는 생각보다 미비하기에 적당한 선을 유지하면 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브레드보드(일명 빵판) 에 사용 되는 적당한 선의 지름은 0.6mm 정도 이며, 연선으로는 AWG24 단선으로는 AWG22가 적당합니다.

또 한가지 흔히 사용하는 UTP케이블(랜선) CAT5의 경우 AWG24를 사용합니다.

위 표를 통해 간단한 계산법을 보자면,

예를들어 18AWG의 직경(mm)은 약1.02mm이며 , AWG값이 6증가하면 표와 같이 24AWG 직경은 약0.51mm로 절반으로 줄어듭니다.

*임의의 AWG 전선에서 6만큼이 증가하면 그 전선의 직경(mm)은 절반이 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전류대비 적당하고 여유있게 전선AWG를 선택 하여 안전하고 즐거운 RC생활 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끗 - 

반응형
반응형

컨제입니다.

인천 드리프트하이 서킷에서 시원하게 더운 여름을 보냅니다.

지난번 주행시 센터드라이브샤프트 마모와 서보 불안정에 대해 진단을 받았는데, 그 두가지를 해소시킬 겸 방문했습니다.

센터샤프트를 통으로 교체 해야하나 고민했지만 다행히 내부 핀만 교체해주면 되는 상태였고, 동행한 지인이 마침 비슷한 핀을 가지고 있었기에 무비용에 어렵지 않게 바로 교체할 수 있었습니다.

주행 시작전 하이브리드에 들어가는 내부 베벨기어 재고여부를 물어보니 다행히 재고가 있다고 합니다.

일단은 서킷에 왔으니 주행먼저 하기로 하고 마모된 기어는 집에 복귀해서 교체해주기로 합니다.

우선 주행부터

아직 서보를 교체하지 않고 일단 좀더 테스트해보기로 합니다.

현재 브론즈 하이브리드 차량에 사용하고 있는 서보+자이로는 두가지 기능이 하나로 합쳐진 일체형 서보를 사용중입니다.
서보에 자이로 기능이 탑재된 제품인데,
그동안 이 제품을 문제 없이 계속 사용해 왔는데 최근 주행중 한번씩 이상증상을 보일때가 있었습니다.

그 증상은
마치 과한 스로틀 입력시 높은 전류를 당겨와 그로인해 서보가 순간적으로 조향능력을 놔버리는 현상이었습니다.
어떤 조건에 발생하는 현상인지 찾으려 수없이 반복 주행 테스트를 했지만 그 발생빈도는 규칙적이지 않았고 말그대로 간헐적으로만 발생하는 증상이었습니다.

아마도 일체형 서보의 오랜 사용으로 노후화 또는 강한 충격이 가해졌을것 같다는 주위의 의견에 서보의 작동이 온전한 상태는 아니라고 판단, 교체를 감행하기로 합니다.

기존 일체형 서보를 떼어내고 하이브리드 제로에 당착했던 AFRC서보 + 요코모 V4 자이로를 떼어 브론즈 하이브리드에 장착해줍니다.

교체 전과 교체 후 모습

 


그렇게 서보자이로를 교체하고 정비하는 과정에서
차체의 중간부분에 회전동력을 90도로 변경시켜주는 베벨기어의 톱니 모습이 매우 날카로이 느껴집니다.

마모로 인해 기어가 갈려서 주위 쇳가루도 과할정도로 많이 보이기도 하구요
그만큼 많이 갈려나갔다는 반증이겠지요

우선은 서킷을 방문했으니 주행부터 합니다.

한 두어바퀴 돌았을까? 그동안 들리지 않던 달그락(?)소리를 동반한 이상한 소리를 내며 달리는 브론즈 머신

뭐지하는 불길함에 바로 주행을 멈추고 차체를 살펴보니
스퍼기어를 지지하고 있는 연결부위가 통채로 심하게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소리였습니다.

이대로는 주행 안되겠다 정비할겸 뜯어보자 해서
분해모드로 들어갑니다.

우선 베벨기어부터..


서킷장님께 베벨기어 새제품 2개를 전달받습니다.

품번 DL218-Z (20T 베벨기어)


왼쪽 기어가 날이 날카로워진 기존 베벨기어
오른쪽이 새로 구매한 새 베벨기어


기존 기어와 교체할 기어를 비교해보니
색깔부터 다릅니다.


교체할 자리가 비어있는 자리


교체를 진행하다보니

헛!!! 이런...

연결 부위의 베어링이 아작이 나 있습니다.

이 파손된 베어링으로 인해 유격이 생기면서 주위 파츠에 무리를 주었던것 같습니다.

그로인해 유격이 크게 발생해 스퍼연결부위도 문제였던것이구요


베어링의 내부 쇠구슬은 어디가고 없고, 내외부 연결링만 덩그러니 남아서 파츠에 붙어있었습니다.


베어링없이 주행이 불가능하니
다시 서킷장님께 베어링을 요청합니다.

다행히 베어링도 재고가 있네요
DL274와
DL271 를 구입합니다.

각각 2개씩 동봉되어 있습니다.


새 베벨기어로 교체해주고

연결되는 베어링도 교체해줍니다.

파손된 베어링은 큰 크기 하나지만, 작은 연결 베어링도 유격이 심해 같이 교체합니다.


역시 센터샤프트 반대쪽도 베어링 교체 완료!

소음을 발생시키던 스퍼기어 연결부위도 모두 잡혔습니다.

마무리로 차체에 연결해서 최종 마무리 짓습니다.


테스트 주행해봅니다.

그동안 고속 주행시 들리던 카랑카랑한 쇳소리(?)가 안들리면서 좀더 정숙하고 부드러운 소리를 바로 느낄수 있습니다.


주행감도 더 좋아진 느낌이고
 
새 기어 및 베어링 교체로 기분도 산뜻해졌으니
 
신나게 달려보겠습니다.

 

유후~


 
 
- 끗 -

 

반응형
반응형

컨제입니다.

차량 바디의 디테일감을 올려주는 아이템중 하나인 머플러 (일명 마후라)를 구매했습니다.

https://a.aliexpress.com/_opYg5IT

US $2.30 | 1:10 RC 자동차 배기 파이프 금속 테일 스로트, 1/10 드리프트 자동차 모델 액세서리, 인기 1

US $2.30 | 1:10 RC 자동차 배기 파이프 금속 테일 스로트, 1/10 드리프트 자동차 모델 액세서리, 인기 1 개

star.aliexpress.com



배기파이프로 검색하면 나오는데 1구와 2구 두가지 버전이 있는데 둘디 필요해서 각각 2개씩 구매해봤습니다.

배송되어 보니 머플러와 빨간색 LED, 장착시 사용할 볼트너트가 들어있습니다.


그런데

그냥 은색의 금속느낌에 뭔가 아쉽습니다.

그래서 좀더 디테일함을 업그레이드 시키기 위해 가스 토치를 준비했습니다.


before 작업전 사진입니다.


after 조치 후 사진입니다.


단지 가스 토치로 끝부분만 뻘겋게 달궈주면 실제 머플러처럼 그을린 흔적이 남아 디테일을 올릴 수 있습니다.

이제 led를 달고 그 led를 깜빡거리게 해줄 모듈을 달아서 백파이어 배기 파이브를 완성시킵니다.

모듈제작은 여기로..

[RC 백파이어] 머플러 LED 깜빡이 모듈 제작 응용편 - https://kernzeroid.tistory.com/m/187

[RC 백파이어] 머플러 LED 깜빡이 모듈 제작 응용편

컨제입니다. IC칩을 이용해 백파이어에 사용할 번쩍거리는 led를 구현해보았습니다.  유튜브 영상도 찾아보고손으로 도면도 그려보고 우선 가장 중요한 NE555 IC칩에 대해 자료를 찾아봅니다. 

kernzeroid.tistory.com



마지막 바디에 슈구나 E6000으로 붙여주면 멋진 차량의 궁둥짝이 되겠습니다ㅋㅋ

이상입니다.

- 끗 -




반응형
반응형

[드리프트 RC카] 3D프린터로 만드는 Drift RC - with Yet Another RC 조립 - 3 (세번째)
 
사전준비는 여기서   https://kernzeroid.tistory.com/102
조립1편(구동계 조립)은 여기서 → https://kernzeroid.tistory.com/189 
조립2편(섀시 및 프론트/리어 암 조립기)은 여기서 → https://kernzeroid.tistory.com/193
 


 
컨제입니다.

이어서 차체를 완성시켜보겠습니다.

지난글에서 리어쇽까지 연결했고, 이어서 프론트쇽을 연결해줍니다.



리어 쇽 연결된 모습



프론트 쇽 연결된 모습입니다.



그다음 스티어링 셋트에 프론트 너클을 연결해 주겠습니다.
역시 턴버클로 좌우 c너클과 연결하고



c너클에는 M3 25mm 볼트로 육각허브휠로 연결해줍니다.



완성된 스티어링 셋트와 프론트 너클

그리고 서보를 장착해줍니다.



서보에 메탈 25T 서보암을 달고 스티어링 바에 역시 턴버클로 연결해줍니다.

처음이라 조금 뻑뻑하긴 하지만, 반복적으로 움직여주니 점점 매끄러워집니다.



서보 중립을 맞추고, 그 중립에 스티어링 바가 센터를 잡도록 턴버클 길이를 맞춰줍니다.

 
 
샷시에 배터리 홀터를 연결하고, 쇼티 배터리를 장착했습니다.

 
 
그다음 프론트 범퍼를 조립합니다.
 
3개의 지지대를 끼우고 샷시 프론트에 맞춰 연결해줍니다.
 
그리고 바디 장착을 위한 네오디움 자석을 연결해서 범퍼 및 바디포스트까지 완성시킵니다.
 
리어도 마찬가지!

 
 
이렇게 최종 차량 조립이 완성되었습니다.
 
서보에 자이로도 연결해주고, 자이로 채널은 CH3에 맞추고 다이얼로 자이로 감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NB4 노블 송신기에서 설정도 잡아주었습니다.

 
 
차량의 전체적인 모습.

 
 
변속기에 인입되는 플러그 타입은 딘스 T플러그이고, 장착한 배터리는 불릿 형태라 중간 변환 젠더는 다시 제작이 필요해보이네요. 

 
 
차체 바닥면은 이렇습니다.

 
 
메인차량인 디라이크 RE-R 하이브리드 차체와 비교샷.
 
같은 후륜(RWD) 드리프트 차량이지만 구동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하이브리드는 볼 디프에 모터배치가 차체 앞쪽에 배치되어 있고 벨트구동방식을 사용 한다고 한다면 3D프린터로 제작한 차량은 디프기어에 모든 기자재가 리어쪽으로 배치되어 리어의 무게감을 증가시켰고(현재 대부분의 후륜차량이 이러한 방식) 모터에서 기어박스로 전달되는 구동이 직결식이라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로인해 주행 또한 전혀 다른 성격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아직 제대로된 넓은 곳에서 주행테스트를 해봐야 알겠지만 느낌은 좋아보입니다.
 
캠버나 토우 그리고 애커먼 셋팅등 아직 세부적인 셋팅은 전혀 무시하고 최종 차량 완성을 목표로 진행해온터라
 
차량의 주행성은 크게 기대되지 않지만, 이부분은 차차 개선해 나가기로 하고 최종 차량의 모습을 위해
 
어떤 바디를 올려서 맞춰야 할지 고민을 좀 해봐야할것 같습니다.
 
여분의 바디는 있으나 바디포스트에 맞게 자석이 장착되어 있는게 아니라서 전용으로 사용할 바디를 찾아야겠습니다.
 
아니면 전용 바디를 아예 프린트로 출력해도 되는 부분이니 ㅎㅎ
 
 
이상으로 3D프린터로 드리프트 RC카 제작하기 포스팅을 마칩니다.
 
좀더 다듬어서 주행영상을 담아 다음 포스팅에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끗 - 
 
 

반응형
반응형

[드리프트 RC카] 3D프린터로 만드는 Drift RC - with Yet Another RC 조립 - 2 (두번째)
 
사전준비는 여기서  https://kernzeroid.tistory.com/102
조립1편(구동계 조립)은 여기서 → https://kernzeroid.tistory.com/189 
 


 
 
컨제입니다.

구동계 조립에 이어서 샷시와 부품들을 올려 본격적인 차체를 조립해 보겠습니다.

제가 가진 a1 mini로는 베드사이즈 한계로 검정색 출력물은 지인분께 부탁드려 받았습니다.

 
 
차체의 섀시에 해당하는 파츠는 M3 접시머리 10mm 와 M2 접시머리 4mm 나사로 결합먼저 해줍니다.

 
그러는 사이 나머지 파츠도 모두 출력 완료되어 결합 전 바닥에 나열해봤습니다.

 
출력된 파츠들과 각종 베어링, 볼엔드,턴버클, 유니버셜 샤프트, 그리고 쇽까지 모든 준비가 다 되었습니다.
 
본격적으로 조립 고고!

 
 
우선 암대를 먼저 조립합니다.
 
프론트 로어 암에 M3 40mm 나사로 볼엔드를 연결해주면 프론트 암대 완성.
 
리어암대는 4개의 파츠가 하나로 결합하여 완성시키는 구조입니다.
 
M2 접시머리 나사를 이용해서 모두 결합시켜주고, 혹시몰라서 강력본드로 접착까지 해주었습니다.

 
그다음 스티어링 바를 조립합니다.
 
MR63ZZ ( 3x6x2.5mm) 의 베어링이 필요합니다.

 
 
각 구멍에 베어링을 하나씩 넣어주고,

 
M3 30mm 2개로 연결해줍니다.

스티어링 블럭 완성.
 
 
이제 심을 준비해야합니다.
 
은색 스틸 심이 있으면 좋겠지만, 황동봉으로 직접 제단해서 사용해보겠습니다.
 
3파이 42mm 길이로 총 4개를 제단합니다.
2파이 27.5mm 길이로 총 2개를 제단합니다.
 
컷팅은 다x소에서 구입한 5천원짜리 쇠톱을 이용했습니다.
 
자르고 남은 날카로운 부분은 사포로 살포시 다듬어줍니다.

 
 
완성형 턴버클로 배송온 제품을 양쪽 볼엔드를 제거하고 턴버클만 사용하고자 합니다.
 
그렇게 프론트 어퍼 암 완성

 
프론트 어퍼암과 로워암, 그리고 리어 로워암, 또 프론트 암셋트가 준비되었습니다.

 
프론트 어퍼암을 먼저 암셋트에 2파이 핀으로 연결해주고

 
 
차체 섀시에 3파이 핀으로 프론트 리어 각각 로워암을 연결해줍니다.

 
 
프론트 어퍼암과 로워암 그리고 암셋트가 섀시에 모두 연결되어 진 모습

 
 
조립1편에서 완성된 구동계(기어박스)를 섀시에 장착해줍니다.

 
 
모터와 변속기도 연결해줍니다.

 
 
 
 
이제 프론트 C너클을 조립해보겠습니다.
 
MR115ZZ 베어링을 C너클에 각각 2개씩 앞뒤로 넣어주고
 
볼엔드 나사를 삽입해줍니다.

 
 
준비가 다 되었으면 프론트 로워암과 어퍼암 사이에 연결해줍니다.

 
 
 
그다음 6700ZZ 베어링과 MR115ZZ 베어링을 준비합니다.

 
리어 로워암에 연결해주고

 
 
리어 쇽타워를 연결해줍니다.

 

유니버셜 샤프트를 베어링 안쪽에 넣어주고 기어박스와 연결해서 턴버클로 모두 연결해줍니다.

 
지인에게 받은 쇽 55mm 4개


그리고 리어 쇽도 연결하고, 육각 휠허브도 연결해서 리어는 최종 완성을 시켰습니다.
 
 
이렇게 얼추 차체의 모습이 보이는것 같습니다.

 
 
다음글에서는 나머지 부품들을 달고 기자재를 올려 최종 완성시켜 보도록 하겠습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끗 - 
 
 
 
다음편
조립3편 (기자재 추가 및 최종완성) 은 여기서 → https://kernzeroid.tistory.com/195
 
 

반응형
반응형

컨제입니다.
 
디라이크 하이브리드 제로 섀시를 모두 조립 후 기자재까지 바꾸고 적당히 즐길정도의 주행은 되어진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미 브론즈 하이브리드와 같은 포지션이라 (휠베이스도 260으로 동일) 무언가 변화를 줘 차별화를 두고 싶습니다.


그래서 이번엔 제로 섀시를 휠베이스를 273으로 늘리는 컨버전을 진행해보려 합니다.

단순히 차체만 길어진다기 보단 주행 느낌이 완전 달라지는데,
휠베이스가 길어지면서 나오는 주행의 안정성, 그리고 리어를 날려 드리프트시 묵직함과 그로인한 파워풀한 주행을 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273으로 정해진 이유는 실차의 휠베이스 2730mm(2.73미터)를 1/10 크기로 줄여 273이 된 것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컨버전시 섀시만 자꾸면 되는게 아니고 하이브리드 특성상 모터의 구동력을 리어로 전달해주는 센터샤프트 쪽도 같이 변경을 해줘야합니다.

우선 섀시 품목명
【DL380】Type-JZX 273
을 준비합니다.
 
노멀 섀시(260mm) 보다 휠베이스가 19mm 긴 롱베이스 섀시입니다.

그리고 센터샤프트쪽 부품도 같이 교체해줄 품목도 준비합니다.
 
【DL484】Type-JZX 273용 베벨 기어 하우징
【DL488】Type-JZX 273용 센터 드라이컵


준비가 되었으니 컨버전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우선 필요한 부품들 입니다.


섀시와 베벨기어 하우징, 드라이브컵



우선 배터리 홀더와 센터샤프트를 제거해줍니다.



그리고 차체를 뒤집어서 볼트의 위치를 기억해둡니다.

프론트쪽 나사 연결모습


리어쪽 나사 연결모습


볼트가 상대적으로 적은 리어쪽부터 진행합니다.


볼트의 위치대로 그대로 옆으로 볼트를 풀어 옮기고


다시 273섀시에 그대로 이식시켜 줍니다.

리어는 완성


다음 프론트 차례.

볼트도 많고 연결부품이 많아 헤깔리지 않게 다른 부품이 빠져 누락되지 않게 조심히 작업을 진행합니다.


프론트도 무사히 이식 성공!


이제 센터 샤프트 차례입니다.

우선 센샤(센터샤프트 줄인말)를 분해해 베벨기어 하우징을 제거합니다.
e링 빼기가 쉽지 않은데, 자그마한 -자 드라이버로 조심스레 탈거합니다.


제거한 e링과 베벨기어 그리고 베어링을 오른쪽 긴 하우징으로 옮겨갑니다.


이때 드라이브컵을 연결해 마무리짓습니다.


롱버전 베벨기어 하우징 완성


그대로 섀시에 장착해줍니다.


롱버전 하우징은 도그본(개뼈)에 연결된 핀에 끼우는 프로텍터를 제거하고 연결해줘야 합니다.
아래 사진상 바닥에 놓여있는 원래 있던 하우징은 핀부분이 크기가 좀 넓은데 롱버전 하우징은 좁아서 그렇습니다.


이로써 273 컨버전이 모두 완성되었습니다!
하지만 이게 끝이 아니죠ㅎㅎ

기자재가 모두 빠져있는 상태입니다.


기자재를 모두 장착합니다.

섀시가 길어지니 그만큼 여유공간도 많아져 수월하게 기자재 배치가 가능합니다.


새로운 서보+자이로 조합이 기대되네요


선정리도 가급적 깔끔히 해봤습니다.


휠베 260인 브론즈 하브와의 비교샷


뒷바퀴를 같은 위치에 놓으면 앞바퀴가 차이가 나는걸 볼 수 있습니다.


컨버전 하고 남은 부품들입니다.


이로써 하이브리드 제로를 휠베이스 273으로 컨버전 해보았습니다.

아직 제대로 주행을 해본게 아니라서 느낌이 어떨지 너무 궁금한데 조만간 시간을 내어 서킷에 방문해서 주행테스트 해보고 수정할부분 또 보완해서 즐거운 주행을 주는 차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이상 260->273 컨버전 적용기를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 끗 -


반응형

+ Recent post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