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컨제입니다.
 
커스텀 LCG에 적재함을 달고 바디를 적재함과 연결하도록 했었는데요
 
앞부분의 경우 단순 자석마운트로 지지를 하다보니
 
차량이 뒤집어질 경우 바디가 마운트한 부분에서 이탈되는 상황이 종종 발생했습니다.
 
바디야 다시 자석에 붙여주면 그만이겠지만, 바디가 이탈하면서 생기는 상당한 소음과 널브러지는 모습이 과히 보기 좋지는 않아서, 바디를 고정시킬 수 있을 만한 방법이 없을까 또 고민을 해보게 되었습니다.
 
 
그러다 산행을 같이 하시던 어느 분께서 사용하시는 방법에서 힌트를 얻어
비슷한 방식으로 제작을 해보았습니다.
 
우선 손으로 잠그고 풀수 있는 M3 너트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알리에서 핸드 너트를 주문했습니다.
 
https://ko.aliexpress.com/item/4000284851766.html

2864.0₩ 21% OFF|블라인드 홀 핸드 너트 널링 알루미늄 엄지 너트, 에어플레임 잠금, 알루미늄 합금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ko.aliexpress.com

 
색상은 시원한 Light Blue색으로~
 
그리고 연결할 부분을 만들어야겠죠
 
퓨전360 을 돌려 연결할 마운트 파츠를 슥슥 그려주고 출력완료!
 


자석이 달려있던 부분에 나사를 이용해서 고정시켜줍니다.
 
그리고 위치를 잡고 바디에 리머를 이용해서 구멍을 뚫어줍니다.
 
이렇게 완성!
 
가운데에 M3 25mm 볼트를 거꾸로 달아줍니다

불쑥 솟아올라있는 볼트


파랑색 핸드너트를 달아주면 이런 모습입니다.

 

 
우선 바디를 씌울때 적재함의 돌기부분에 구멍을 맞춰 끼워줍니다.


그다음 바디 앞쪽을 씌우면 이렇게 살짝 볼트가 삐져나오게 되고, 바디 바깥에 핸드너트를 끼워 주면 바디가 완전히 고정되게 됩니다.


원래 바디에 살짝 돌출되어 있는 코 부분에 구멍을 정확히 맞추려고 먼저 뚫었는데, 볼트의 간격을 조절하기 귀찮아서 그냥 다른곳에 다시 뚫었습니다; 그래서 구멍을 그냥 막아두었습니다ㅋ

결과론적으로 봤을때 코가 약간 앞쪽으로 쏠리게끔 되어 있어 좀더 코 스럽게 보이는 효과가 있는것 같아 만족합니다.


측면 컷
코 아랫부분에 PS-TS-PS 도료로 도색했음에도 돌바닥에 구르다보니 도색이 점점 깨지네요


정면샷입니다


청새치 LCG 파랑코 바디마운트 마무리


몇번의 산행으로 뒤집히고 구르다보니 가장 돌출되어 있는 핸드너트가 긁히고 그로인해 많는 흠집이 생겼지만, 즐거운 산행의 흔적들이니 그 또한 멋스러움의 일부로 다가옵니다.

이상 청새치 파랑코 달아주기 글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 끗-

반응형
반응형

컨제입니다.

완성된 커스텀 LCG로 만족스러운 산행을 즐기고 있는 와중에
 
해외유저의 사진을 하나 보게됩니다.
 
 
뒤가 밋밋한데 한번 만들어 볼까?
 
일단 차량 후면의 길이를 자로 충분히 재어 준후
 
모델링 툴인 퓨전360으로 스윽스윽 그려줍니다.

 


 
그리고 출력!

 
한방에 깔끔하게 나와주었네요
 
바디의 마운트도 담당하게 될 적재함이라 아래 사진처럼 툭 튀어나온 부분이 있습니다.

 
이부분을 바디에 뚤린 구멍으로 체결하는 방식입니다.
 
절벽에 가까운 바위에 올라다 비비다보면 차량이 전복되는 일이 흔한데, 이때 차량이 뒤집어 지면서 자석으로 고정되어 있는 바디가 이탈하는 상황이 여럿 발생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렇게 고안해보았습니다.

 
 
샷시에 뚤려있는 쇽 거치 위치를 이용해서 구멍을 뚫고 M3 나사로 고정시켜 주었습니다.
 
 

 
그렇게 해서 완성!
 
추가로 어디선가 버리려다 챙겨둔 안테나 선에 아이가 좋아하는 몰랑이의 단짝친구 피우피우도 달아줘봤습니다.

 
텅 비어있는 후면보다 훨씬 더 차 같아보입니다.

 
짐도 싣어도 될것 같은 느낌~
(리어부분이 무거워 지므로 짐은 싣지 않는걸로..)

 
차량의 바닥은 이렇습니다.
 
산행의 흔적으로 엑슬 기어통과 스키드 플레이트 부분에 스크래치가 많이 발생했네요~
 
열심히 바위를 비빈 흔적이므로 그 또한 예뻐보입니다ㅎㅎ

 
다음엔 모터를 일반 540 크기 모터가 아닌 아웃러너(통돌이) 모터로 변경하는 과정을 기록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끗 -

반응형
반응형

컨제입니다.
 
커스텀한 LCG 차량의 리어 부분에 연결해줄 옵션을 추천 받았습니다.
 
https://ko.aliexpress.com/item/1005005676208354.html

9280.0₩ 39% OFF|알루미늄 리어 어퍼 링크 라이저, F9 포털 액슬, 축 1/10 카프라 UTB10 안티 스쿼트 업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ko.aliexpress.com

 
엑슬에 바로 장착되는 어퍼 링크로드를 드라이브샤프트 위쪽으로 모아주고 올려주어 고각 등반에 유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옵션 파츠 입니다.
 
알리에서 주문후 10일정도 걸려 받아보았습니다.

 
 
밋밋한 리어부분에 이렇게 생긴 링크라이저 입니다.

 
 
엑슬의 빈 구멍에 결속하고 나사로 조여준 뒤 링크로드를 풀어 링크라이저에 다시 연결하기만 하면 됩니다.

 
 
MOA(Motor On Axle) 차량의 경우 상당한 높이로 엑슬보다 더 위쪽으로 링크라이저를 띄워 셋팅하기도 하지만, 바위정복의 극단적인 선택방향이라고 생각되어 그보다는 적당히 평지주행도 겸할겸 타협점을 잡고 이 옵션을 선택해 보았습니다.

 
이로써 주행력이 0.15352% 증가하였습니다.
 
다시 안양사 테스트하러 고고~
 
 
- 끗 -

반응형
반응형

컨제입니다

 

빌드가 완성되었으니, 주행을 시험해 봐야겠죠.

 

우선 첫주행에 타이어는 메갈리딕을 선택했습니다.

 

차체의 휠베이스는 340mm 
 
그리고 바디는 마운트는 아직 미흡하지만 임시방편으로 자석을 달아주고, 고무줄신공으로 임시 조치!

 
최종적으로 코너웨이트에 올려 무게를 확인해봅니다.


드디어 출격준비 완료!!!
 
최종 사진은 촬영사진을 안찍어서...;;
 

 

다음날 안양사 출격으로 주행 테스트를 해봅니다.


같이 산행길에 오른 6대의 LCG들이 다같이 모여서 한컷!!

 

아직 첫주행이라 몇몇 부족한점들이 보입니다.

 

우선 바디부터 제대로 마운팅해야 할것 같구요

 

전방 무게도 살짝 더 추가해 줘야할것 같습니다. 그리고 메갈리딕 타이어는 생각보다 만족감을 주진 않은것 같아서 럽처를 쓸지 어쩔지 좀더 고민이 필요하겠네요

 

또 쇽의 위치를 좀더 조절해서 휠트에 따른 로드 간섭을 피해야 할것 같습니다.

 

앞범퍼도 서보와의 간섭이 살짝 있어서 간섭이 없도록 양옆으로 늘려줘야 될것 같구요

 

리어의 허전함을 달래줄 적재함도 달아줘야겠습니다.

 

 

 

 

멈추지 않고 재밌고 즐거운 산행이 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조금씩 변경하고 수정해 나갈 예정입니다.

 

 

하나씩 차량에 변화를 주면서 테스트 해보는 과정을 계속해서 기록으로 남겨보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끗 - 

반응형
반응형

컨제입니다.
 
커스텀 LCG 차량의 바디는 알리에서 저렴히 구매할 수 있는 파워웨건 으로 선택했습니다.
 
https://ko.aliexpress.com/item/1005005058336613.html

14793.0₩ 73% OFF|1/10 닷지 파워 왜건 캡 PC 클리어 바디, RC 크롤러 축 Scx10 Trx4 Yikong 4102 Rgt 86100 Redcat G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ko.aliexpress.com

알리 세일때 쿠폰을 먹였더니 9.46$ 약 13,000원 정도에 구매할 수 있었습니다.
 

 

 
마스킹 스티커와 꾸밈용 스티커가 야무지게 들어가있습니다.
 
아트나이프를 이용해 LCG차량에 불필요한 머드가드 및 사이드 스텝 부분은 과감히 날려줍니다.
 
https://ko.aliexpress.com/item/1005005682130248.html

2226.0₩ |TAMIYA 크래프트 도구, 하드 스테인레스 스틸 RC 카, 74005 차량 보트 바디 쉘, 바디 쉘, 플라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ko.aliexpress.com

 
바디 컷팅은 아트나이프로 충분히 커버가 되지만, 한번씩 날카로운 날에 크게 다칠 것 같은 느낌이고, 곡면처리등 매끄러운 부분 처리를 위해 바디컷팅 전용 가위도 주문해보았습니다.
 

물론 짭이겠지만 그럭저럭 쓸만한것 같습니다.
 
 


 
 
속히 바디를 완성시키고 산행을 가야 해서 도색과정은 일일이 사진으로 담지 못하였습니다.
 
그래도 순서를 정리해보면
 
 
1. 퐁퐁 세척
 
2. 윈도우 부분 마스킹 테잎 붙이기
 
3. 펄 클리어 도포
 
4. TS 메인 색생 도포
 
5. 마무리 실버 도포
 
 
그리고 밋밋한 외관을 꾸미기 위해 알리에서 벌집모양 스티커를 주문해봤습니다.
 
https://ko.aliexpress.com/item/1005006227286944.html

1024.0₩ 70% OFF|씨메탈 오토바이 오일 탱크 스티커, 오토바이 스쿠터 전기 자전거 장식 필름, 벌집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ko.aliexpress.com

 
이건 대충 잘라서 탑 부분에 붙여주고
 
 
구글링을 통해 4X4, OFFLOAD 등과 같이 오프로드 감성이 물씬 풍기는 이미지를 골라 스티커로 제작했습니다.
 

 
또 조금은 엉뚱하지만 바디의 컨셉을 바다속 청새치로 잡아보고 캐릭터를 제작해봤습니다.
 
힘차게 바다위로 뛰어오른는 한마리 청새치의 모습에 오프로드용 타이어를 달아 거센 물살을 헤치고 높은곳으로 솟아 오르는 느낌을 표현해 보고 싶었습니다.
 
역시 구글링을 통한 이미지에 오프로드 타이어를 합성하여 이미지를 완성시켰습니다.
 
 
투명 라벨용지에 출력해주고
 
적당한 크기로 맞춰준다음 출력해서 차량이 붙여줍니다.
 
 
바디의 마운트는 이 제품을 활용했습니다.
https://ko.aliexpress.com/item/1005004193839364.html

3987.0₩ 56% OFF|RC 자동차 쉘 바디 마운트 금속 L 브래킷, 1/10 RC 크롤러 자동차 축 SCX10 90046 D90 용 자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ko.aliexpress.com

 
 

반응형
반응형

컨제입니다.
 
드디어 마지막 단계입니다.

우선 엑슬에 서보 마운트를 장착해줍니다.
 
엑슬을 달려면 전용 마운트가 필요하겠죠. 엑슬 구매시 함께 구매해둔 마운트를 엑슬에 달아줍니다.
 
https://ko.aliexpress.com/item/1005003310098221.html

 

3982.0₩ 36% OFF|알루미늄 서보 마운트 탄소 섬유 홀더, 서보 고정 브래킷, 1:10 축 SCX10 AXI03004 카프라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ko.aliexpress.com


그리고 그 위로 서보를 장착해줍니다.
 
처음 기본으로 장착후 작동확인을 하는 과정에서 약간의 간섭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간섭을 피하고자 스페이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너트를 끼워 서보를 살짝 공중부양 시키게끔 장착하였습니다.
 


 사용하고자 하는 배터리는 최소한의 무게로 3셀의 파워를 낼 수 있는 용량은 작은 850mAh 의 초소형 배터리를 사용예정입니다.
 
이 배터리를 장착할 수 있도록 배터리 트레이을 모델링해서 장착해주었습니다.
 

툴로 슥슥 그린다음 출력!

 

 

3셀 850mAh 사이즈에 딱 들어 맞게 제작하였습니다.

 
차량 전복시 배터리가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줄 벨크로(일명 찍찍이)도 달아주고

 
앞 쇽이 눌리거나 최대로 늘어나거나 하면서 서보의 선이 샷시에 체결한 볼트/너트와의 간섭이 발견되었습니다.
 
그래서 배터리 트리에 부분에 있는 공간을 활용해 서보선을 안쪽으로 넣어줌으로써 정해진 범위 내에서만 움직여 간섭을 최대한 줄이고자 했습니다.


 
바디 마운트가 필요해서 어떻게 할까 고민을 많이 하다가, 사이드 플레이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양옆에 마운트를 길다랗게 출력해서 달아주었습니다.

 

샷시 빈 구멍에 맞게 구멍을 잘 뚫어준다음 출력해서 장착.

 
바디마운트 겸 사이드 플레이트로 달아준 끝 부분에 마그넷을 달아주었습니다.

 

 

기어박스와 사이드 바디마운트의 모습.


 
퓨전프로의 장점인 변속기가 따로 없으므로, 전원 스위치만 차량 옆쪽으로 빼서 양면테이프로 붙여주었습니다. 


 
수신기는 평평한 기어박스의 윗부분에 위치하면 좋을것 같아 역시 양면테잎으로 붙여주고

 
 
나머지 여분의 전선들은 하나로 뭉쳐주고 검정색 페브릭테잎으로 최종 마무리해주었습니다. 


 그리고 새로이 출시한 제이컨셉의 메갈리딕 타이어도 앞뒤로 장착해주었습니다.
 

이제 구동할 수 있도록 차체가 완성이 되었으니,

 

다음글에서는 그 위에 씌워줄 바디의 도색을 서둘러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끗 -

반응형
반응형

컨제입니다.
 
기어박스+모터 연결에 이어 링크로드로 차량을 완성시켜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샷시 구매시 옵션으로 추가하여 구매한 전용 링크로드가 있습니다.
 

 
헌데, 길이가 긴건 동일한 길이인데
 
짧은 로드는 길이가 제각각이군요 😕 
 
판매 페이지에 설명은 역시나 없고, 뭐 알아서 용도에 맞춰 쓰기로 합니다.

 
 
우선 리어쪽 링크로드를 연결해봅니다.

 
각이 져 있는 바위를 공략할 경우 배 걸림을 최소화 하기 위해 밴딩처리가 되어있는 부분을 신경써서 위치를 잡고
 
로드엔드를 체결해 각을 잡아줍니다.

 
 
드라이브샤프트를 기어박스와 리어액슬과 연결해서 최종 연결을 해줍니다.
 
이 로드 연결로 차량의 휠베이스(Wheel base)가 결정되는데, 연결전 시뮬레이션 해봤을때 약 340mm 정도가 나왔습니다.
 
일반적인 1:10 트라이얼 차량의 국민 휠베 길이는 313mm인거에 비하면 상당히 긴편에 속하는데, 선택한 액슬이 카프라용 액슬이고 너비 자체가 넓어 그에 비례로 휠베도 같이 길어지게 셋팅해보기로 합니다.
 
포털엑슬 + 긴 휠베가 크롤링시 좀더 유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리어는 다 되었고,  중요한 프론트가 남았습니다.
 

프론트 로드는 전산볼트를 이용해 자작으로 만들어 사용했습니다.

 

철물점에서 구입한 M4 굵기 전산볼트를 적당한 길이로 잘라 볼엔드를 결합하고 그 사이를 수축포로 감싸는 방법입니다. 

 

처음 가조립부터 예상했듯, 아웃러너 모터 사용을 권장하는 샷시에 억지로 일반 540 모터를 집어넣다 보니, 그로인해 정석대로 조립하는게 아닌 변칙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건 바로 링크로드를 샷시 안쪽에 위치시키는 것이 아닌 바깥쪽 외부에 장착하는 방법입니다.

  
로드의 중간에 흰색 테이핑이되어 있는건, 볼엔드를 장착할 때 니퍼로 꽉 잡을 경우 전산볼트의 나사선이 망가짐을 피하기 위한 이유입니다. 완성시점엔 수축튜브로 감싸서 나사선을 아예 안보이게 해줄 예정입니다.

 
이렇게 모터로 인해 장착할 수 없는 부분에 한해 로드를 살짝 꺽어 휘게 만든다음 장착해주었습니다.
 

<  로드를 꺽어서 샷시 바깥쪽에 장착해서 적용된 모습 >

 

 

드라이브 샤프트(줄여서 드샤)도 샷시 구매시 동봉되어있던 짧은 길이의 드샤를 이용하려 했는데,
 
차체가 바닥에 눌릴때가 아닌 반대의 경우 위로 들려질경우 드샤가 소켓에서 빠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드샤의 길이가 짧아 발생하는 문제로 그보다 살짝 긴 85mm 길이의 드샤를 추가 주문했습니다.
 
 
https://ko.aliexpress.com/item/1005005387035152.html

 

2004.0₩ 86% OFF|금속 내부 스플라인 드라이브 샤프트 유니버설 조인트 구동축, 1/10 RC 자동차 크롤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ko.aliexpress.com

85-115mm 길이로 주문해서 일주일만에 배송받고 바로 장착해주니 이제는 차를 들어도 빠지지가 않네요! 
 
 
차량의 기본 골격은 완성되었으니
 
이제 남은 기자재를 모두 올려서 최종 완성시켜보도록 하겠습니다.
 
 
- 끗 - 

반응형
반응형

컨제입니다.

 
빌드 2 글 마지막에 언급했듯, 오버드라이브가 적용된 기어박스는 정해진 방향으로 장착되어야 합니다.
 
모터에서 구동된 동력 프론트는 100%, 리어는 70%의 동력이 전달되어야 하기때문에 기어박스를 상황에 맞게 앞/뒤 바꿀수가 없습니다.
 
 
아래 기어박스의 위치는 뒤집어진 방향이고, 만약 그렇게 장착한다 하더라고 링크로드랑 연결되는 부분으로 인해 모터장착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다시, 기어박스의 방향을 바꿨고,
 
차량의 정면 기준 위에서 봤을때 모터가 좌측에 위치하는게 맞는 위치 입니다.
 
그렇게 자리를 다시 잡고 보니....
 
이런, 역시나 문제가 있습니다.
 
드라이브 샤프트를 연결한다고 가정 했을때, 모터의 일부가 완전히 겹쳐 간섭이 아닌 아예 장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네요.

 
 
그래서 간섭을 피하는 다른 좋은방법이 없을까 고민을 해봅니다.
 
만약 이렇게 짧은 드라이브 샤프트를 사용하고, 아래처럼 연결할 수 있는 무언가가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카페에 질문을 올려 다른 수많은 유저분들의 의견을 들어봤는데
 
결론은 호박통이 좌측으로 쏠린 액슬이 아닌 정 가운데에 위치한 액슬로 변경하는게 가장 빠르고 확실하다 였습니다.

 
만약 추가 부품구매해서 장착한다 하더라도 정확히 맞을지도 의문이며, 맞게 장착되었다 하더라도 그로 인해 발생하는 유격은 차량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게 많은 이들의 의견. 시간도 걸리고 비용도 들고, 100% 확신도 없으니, 차라리 안전한 방법을 선택하기로!
 
 
일단,
 
좀더 고민을 해봅니다.
 
원래 빌드중인 샷시는 아웃러너(일명 통돌이)모터 사용을 권장하였기에
 
통돌이 모터로 바꿔버릴까 고민 & 고뇌 해봅니다.
 
우선 여러 종류의 통돌이가 있지만, 성능면에서 독보적인 홈즈 모터를 기준으로 잡고 만일 샷시에 장착시 간섭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크기를 확인해봅니다.
 
홈즈하비 공홈에서 사이즈를 재서 더미 샘플을 만든 후 모터가 들어갈 자리에 직접 대어봅니다.

 
 
홈즈 통돌이 모터 중 일반 540급은 샤프트에 살짝 간섭이 생기네요

 
 
홈즈 540S 급 스눕노즈 모터를 선택하게되면 역시 작은 크기로 인해 간섭없이 장착을 할 수 있게될것 같습니다.

 
이런저런 딜레마에 빠져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 고민끝에
 
기왕 써보기로한 오버드라이브 기어박스 + 퓨전프로 조합을 버리지 못하고
 
좌측으로 쏠려있는 호박통을 달고 있는 액슬을 가운데에 달려있는 액슬로 변경하기로 합니다.
 
 
통돌이는 추후 변경사항으로 남겨두고,,,
 
액슬 추가 구매 결정!
 
 
프론트 액슬 (호박통이 가운데에 위치한 녀석으로 선택) - 색상: Red Front
https://ko.aliexpress.com/item/1005002575369271.html

47267.0₩ 33% OFF|알루미늄 합금 전면 및 후면 포털 액슬 1/10 RC 크롤러 자동차, 액시얼 카프라 1.9 무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ko.aliexpress.com

 
그리고 리어액슬은 메탈이 너무 무거운것 같아 수지(플라스틱) 재질의 액슬로 선택해보았습니다. - 색상: Rear Axle
https://ko.aliexpress.com/item/1005006417396424.html

43565.0₩ 25% OFF|플라스틱 전면 후면 포털 액슬 컴플리트 세트, 1/10 RC 크롤러 자동차 액시얼 카프라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ko.aliexpress.com

 
 
알리에서 주문했으니, 최소 일주일은 잠시 홀딩...
 
그 동안 다른 부품들을 준비해둡니다.
 
주문한 80mm 지트쇽(G-Transition)도 도착을 했네요

 
https://gmade.co.kr/product/detail.html?product_no=285&cate_no=86&display_group=1

G-Transition Shock 레드 80mm (4)

교환 및 반품정보 교환 및 반품이 가능한 경우 - 상품을 공급 받으신 날로부터 7일이내 단, 제품의 포장을 개봉하였거나       포장이 훼손되어 상품가치가 상실된 경우에는 교환/반품이 불가

gmade.co.kr

 
앗! 그런데, 쇽 조립을 하다보니 볼엔드가 하나가 비어있는것입니다.
 
개봉전 찍어준 사진을 자세히 살펴보니 볼엔드가 3개뿐.... 헐;;
 
제조사인 지메이드에 문의하니 바로 조치해주겠다고 답변, 그리고 이틀 후 누락부품 및 간단한 서비스부품까지 무료로 배송해주네요!! 서비스 대만족입니다. 국산 제품의 소중함을 다시한번 느끼며..

 
쇽의 셋팅방법은 두가지가 있는데, 주로 고각의 바위를 탈 목적이므로 드룹셋팅으로 쇽을 조립합니다.

 
다음글에서는 준비된 액슬 과 링크로드를 연결하는 과정을 담아보겠습니다.
 
- 끗 - 

 

반응형
반응형

 
산와(SANWA)에서 나온 MT-4라는 송신기를 사용중입니다.
 
ㅇㅇ
https://ko.aliexpress.com/item/4001166864806.html

2195.0₩ 56% OFF|Sanwa 알루미늄 송신기 랜야드 금속 후크, RC 원격 제어, Sanwa 라디오 시스템, M12, M12S,

Smarter Shopping, Better Living! Aliexpress.com

ko.aliexpress.com

 
 


장착방법은 간단합니다

조종기에 나사를 하나 풀고

후크를 힘을 주어 세게 밀어넣어주고 다시 나사 체결!
 



이렇게 후크 달기 완성!

알리 없으면 어쩔뻔했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ㅋ

늠름한 자태의 MT-4


후크가 생겼으니 고리도 걸어봅니다


올림x스 카메라 스트랩을 재활용해서 사용중인 MT-4

스크랩 없이 산행하면 이래저래 불편한데

스트랩 달아주니 너무 편합니다~

이상 후크 장착 후기였습니다

-끗-

반응형
반응형

 
컨제입니다.

새로이 구매한 하비윙 퀵런 퓨전 프로 (2300kv), RC9 49kg 서보, 산와 RX-37W 수신기를 꺼내봅니다.

 
 
퓨전프로의 포장을 뜯고 연결을 하고 기자재 테스트를 진행해봅니다.
 
퓨전시리즈의 특징인 모터+변속기 일체형이다보니 연결도 쉽고 너무 간편해서 좋습니다. 퓨전SE에 이어 퓨전프로의 힘이 기대됩니다.
 
송수신기 바인딩 후 테스트시 모두 정상 확인 완료!

 
 
이제 
 

기어박스를 구매시 동봉되어 있던 스키드 플레이트를 꺼냅니다.
 
길이를 재어보니 폭이 72mm 나옵니다.

 
링크로드를 연결해야 하므로 볼엔드를 먼저 달아주고
 
그리고 샷시에 장착합니다.

 
그렇게 순조롭게 빌드를 진행하는데,
 
이런.....!!!!!!! 😫
 
문제가 생겼습니다. (1차 문제 발생)
 
샷시의 폭이 약 68mm로 스키드 플레이트가 너무 커서 들어가질 않습니다. 어떻게해야 하나 고민하다가
 
플레이트의 길이를 68mm로 맞추기로 하고 72mm이니 양 쪽을 2mm씩 잘라내기로 합니다.
 
 
다행히 플레이트의 재질이 쉽게 개지는 플라스틱이 아닌 충격에도 견고한 딱딱한 고무(?)재질이라 아크릴 컷팅칼로 슥슥 그어주고 니퍼로 꺽어주니 원하는 모양대로 똑 부러져주었습니다.

 
 
양쪽을 컷팅 후 사포로 갈끔히 마감해주고 샷시에 장착을 해주었습니다.
 
깔끔하네요 만족!

 
그런데......😫😫
 
여기서 2차 문제가 발생합니다.
 
샤시의 폭과 플레이트의 길이가 68mm인데, 여기에 기어박스와 모터를 장착해보니 폭이 좁아 도저히 둘다 연결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버립니다ㅠㅠ
 
방법이 하나 있다면, 기어박스와 모터를 스탠드오프(STANDOFF)나사로 위로 띄워서 샷시와 간섭이 없게끔 하는 방법이 있으나, LCG 인 저중심성에 반하는 행위라 생각되어 다른방법을 찾게 됩니다.
 
결국
 
샷시와 스키드 플레이트 사이에 3mm 스페이서를 끼워서 사이즈를 벌려 연결하기로 합니다.
 
M3 너트와 와셔를 연결하여 3mm를 맞추고 샷시를 구성하는 연결 브라켓 전부 스페이스를 끼워 폭을 넓혀주었습니다.

 
폭을 넓혔더니 다행히 기어박스와 모터를 장착되어 집니다.
 
휴~~
 
그리고는 곧바로 이어서 드라이브샤프트 까지 다 연결 후에 동작 시뮬레이션을해보니...
 
여기서 3차 문제가 발생합니다.....😫😫😫
 
만약 이대로 주행시 드라이브샤프트와 샷시간 간섭이 상당할것으로 보이는 것이었습니다. 거의 낑기듯 들어간 드라이브 샤프트... 
 
특히나 고속 회전시는 주위가 다 갈릴것 같은 느낌 팍;;;

 
또한 반대쪽도 드라이브 샤프트 이외에도 우측 모터부분도 샷시와 직접적으로 닿으면서
 
추가로 달아야할 링크로드를 연결할 수 있는 공간이 전혀 없어지게 되었습니다.
 
이를 어쩌나 고민하다가
 
공간을 벌려 우선 집어넣어줍니다. 섀시랑 모터가 닿을랑 말랑...

 
 
Before) 모터 장착전

 
After) 모터 장착 후

 
장착된 기어박스 + 모터의 조합을 가만히, 유심히 들여다보니...
 
아차! 놓친게 하나 있었습니다!!!
 
 
여러종류의 기어박스 중에서 제가 선택한 기어박스는 단순히 모터의 동력을 앞뒤로 분배해주는 것 뿐만 아니라
 
뒷쪽으로 가는 동력을 30% 낮춰서 가도록 배분하는 기어박스였기에
 
앞/뒤 를 구분없이 장착하는게 아닌 정해진 방향으로만 장착해야만 하는것이었습니다.
 
만일 위 사진처럼 앞뒤를 거꾸로 장착할 경우, 프론트의 구동력이 30% 감소되고 리어가 더 빠른 상황에 이르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다시,,,
 
샷시를 앞쪽으로 놓고 봤을때 모터는 왼쪽에 위치하도록 재조정을 한 후 장착했습니다.
 
그리고, 이어서 또 다른문제가 발생..............
 
그 문제는 다음글에서 이어서 작성해보겠습니다.
 
 
-끗-

반응형

+ Recent posts

반응형